• 아시아투데이 로고
취임 7개월 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19% 불과

취임 7개월 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19% 불과

기사승인 2008. 10. 10. 15:2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취임 7개월을 맞은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1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말 러시아 방문 이후 30%대로 진입했다는 언론보도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최근 미국발 금융위기로 우리 경제가 패닉 상태에 빠지자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20%대로 또다시 내려앉은 것이다. 지난 7월 쇠고기파동이후 종교편향, 언론장악, 경제위기, 종부세 등 ‘악재’로 두 달 여 동안 20-25%대 지지율에 머물렀다.

이같은 지지율 정체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보다 체감경기 악화로 인해 ‘경제대통령’을 표방했던 이 대통령에 대한 실망과 불신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자신의 최대 공약인 ‘경제살리기’를 위해 강력한 개혁드라이브를 추진하려던 이 대통령으로선 국정 가도에 ‘빨간불’이 켜진 셈이다.

◇이명박 대통령 ‘국정운영 잘못했다, 73.8%’

아시아투데이가 창간 1주년을 맞아 국민 1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하지 못해 왔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73.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잘 해 왔다'는 긍정적인 평가는 19.1%에 그쳤다.

부정적인 평가는 남성이 75.0%로 여성 72.5%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20-30대가 각각 83.8%, 77.4%로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반면 50대 이상으로 갈수록 ‘잘 해 왔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구소득별로도 400만원 이상 고소득층에서 긍정적 평가가 24.9%로 다른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특히 호남권과 강원, 제주 지역에서 '잘하지 못해왔다'가 8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향후 대통령 국정 운영에 대한 기대감도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국정운영을 잘 할 것이다’라는 응답은 59.9%, ‘잘하지 못할 것이다’라는 응답은 34.6%로 나타났다. ‘잘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여성이 62.7%로 57.0%인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영남권이 63.7%로 가장 높고, 호남권은 42.2%만이 긍정적인 입장을 보여 전통적 지지층이 우세했다.

그러나 고소득층의 경우 국정운영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었던 반면, ‘잘할 것’이라는 기대치에 있어선 고소득층일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헌 찬반 45:50 팽팽..,. 2012년 대선 전후 개헌해야

제헌 60주년을 맞아 정치권을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개헌론과 관련,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 필요성에 대해 찬성(45.0%)보다는 반대(50.2%)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조사들에서는 개헌 필요성에 찬성이 많았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는 최근 국가 경제가 악화되고 살림살이가 어려워지면서 정치제도를 바꾸는 데 무관심해진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개헌에 대한 찬반은 연령별, 지역별, 직업별로 차이를 보여 향후 개헌 추진시 갈등 요소로 부각될 가능성도 크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연령이 높을 수록 '반대'하고, 20대 등 청년층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충청권과 경상권은 '반대' 의견이, 호남권은 '찬성' 의견이 50% 이상을 넘어 차이를 보였다. 직업별로는 자영업, 블루칼라, 주부 층의 반대가 높았고, 화이트칼라,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개헌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헌시 바람직한 정부형태에 대해서는 '4년 연임 대통령 중심제'가 개헌 찬성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7.4%를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의원 내각제' 25.4%, '혼합형인 이원 집정부제' 21.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년 연임 대통령 중심제'의 응답률은 남성(53.0%), 40대(53.0%), 50대(57.2%)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의원 내각제'는 남성(30.7%), 60세 이상(33.1%)에서, '이원 집정부제'는 여성(31.3%), 29세 이하(31.5%)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경상권의 경우 '4년 연임 대통령 중심제'의 59.4%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호남권은 '의원 내각제'가 30.0%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가구소득별로는 저소득층일수록 '4년 연임 대통령 중심제'가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높고, 고소득층일수록 '의원 내각제'와 '이원 집정부제'의 응답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적절한 개헌시기에 대해서는 2012년이 개헌시기로 적절하다는 응답이 53.9%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돼 현 정부 내 이뤄지길 바라는 것으로 분석됐다.

세부적으로는 '4년 후인 2012년 대선 전후'가 29.2%로 가장 응답률이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2년 후인 2010년에 있을 지방선거 이전' 26.8%, '4년 후인 2012년 총선 전후' 24.7%, '지방선거 이후' 17.2% 순이었다.

특히 '2010년 지방선거 이전'은 29세 이하(31.5%), 충청권(37.6%)에서, '2012년 총선 전후'는 경상권(31.6%)에서 비교적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사회통합을 위해 적합한 리더, 박근혜 1위

사회통합을 위해 적합한 리더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32.7%)가 1위로 꼽혔다. 그 다음으로 이명박 대통령(16.1%), 노무현 전 대통령(7.6%), 손학규 전 경기지사(4.2%), 정몽준 한나라당 의원(3.9%) 순으로 나타났다.

박 전 대표는 최근 모 여론조사기관이 실시한 ‘차기 대권과 관련한 가장 잠재력 있는 정치인’ 조사에서도 압도적인 1위(42.2%)를 차지한 바 있어 이번 조사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박 전 대표의 ‘독주’ 원인은 집권 초기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추락하면서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의 전통적 지지 기반인 보수 진영에서 그 대안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경제성장’을 이뤄낸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향수도 크게 작용했다는 것이다. 현재 박 전 대표는 외부 활동이나 발언엔 입을 꼭 다물고 외교, 경제 등 공부에만 집중, 2012년 대권을 향해 매진하고 있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50대(20.5%), 60세 이상(22.2%), 400만원 이상 소득층(20.3%)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은 29세 이하(14.0%), 충청권(14.3%), 호남권(11.7%)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보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