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보험연구원 “미국 기준금리 조기인상, 국내 채권자본 유출 우려”

보험연구원 “미국 기준금리 조기인상, 국내 채권자본 유출 우려”

기사승인 2014. 09. 19. 11:4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신흥국경제 자본유출, 국내 수출에 악영향
미국 연방준비기금(Fed)의 기준금리 조기인상이 국내 채권 자금을 중심으로 자본유출을 유발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신흥국 경제가 타격을 입을 경우 신흥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19일 이아름 보험연구원 연구원의 ‘미국 양적완화 종료가 미칠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신흥시장에 유입됐던 자금이 유출돼 신흥국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원은 우리나라가 양적완화 종료 후 미국 기준금리 조기 인상 가능성과 더불어 중국 경제성장 둔화, 지정학적 불안 확대 등 세계 금융시장 리스크에 따른 변동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작년 기준 신흥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 비중은 40%”라며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인해 신흥국 경제가 타격을 입을 경우 신흥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연구원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과거처럼 우리나라 대규모 자본유출을 유발하진 않겠지만, 채권 자금을 중심으로 자본이 유출될 수 있다고 시장전문가들은 지적한다”며 “중국 경제성장률 둔화, 지정학적 불안 확대 등 잠재위험 요인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경우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확대될 전망으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지난 1월부터 양적완화 축소를 진행하고 있으며 10월 중 종료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미 FOMC 회의에서 월 850억 달러였던 3차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 달러로 축소하는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을 처음 시행했고,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자산 매입액을 100억 달러씩 5차례 축소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 연준이 이달 FOMC 회의에서 자산매입 규모를 150억 달러로 100억 달러 낮춘 뒤, 10월 회의에서 양적완화정책을 종료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연준은 17일 FOMC 회의에서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 달러 낮춘 150억 달러로 결정했다.

이들은 최근 미국의 소비와 투자, 고용 등 부문별 경제지표들이 2012년 9월 3차 양적완화를 단행한 시점보다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양적완화가 곧 종료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2분기 미국의 경제성장률 수정치는 잠정치(연율기준 4.0%)보다 0.2%포인트 높은 4.2%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예상치 1.7%를 상회해 2.0% 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올해 2분기 설비투자는 예상치 5.5%를 상회해 2년 만에 최고 증가율인 8.4%를 기록했고, 같은 기간 소비지출 증가율도 2.5%를 기록해 1분기의 1.2%의 두 배를 보였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8월 제조업지수도 59.0으로 2011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제조업지수는 기준선인 50을 넘으면 경기가 확장세임을 의미한다.

미국의 경기회복세가 지속됨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논쟁도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잭슨홀 미팅에서 옐런 미 연준 의장이 고용사정이 회복된다면 조기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42명 중 44.7%가 내년 2분기에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아직 단언하긴 이르다.

연준의 매파가 경기회복세와 장기 저금리에 따른 자산 가격 버블 및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 4분기나 내년 1분기에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달리, 옐런 연준 의장을 비롯한 비둘기파는 현재 금융 안정에 대한 리스크가 크지 않고 경기회복세가 뚜렷해져야 하므로 저금리를 내년 말이나 2016년 초까지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실제 17일 FOMC 회의에서도 옐런 의장은 “위원회는 최종 경제 정상화 과정의 일부분이 이전에 명시한 것과 다를 수 있다”며 “자산 매입(양적완화) 계획이 종료된 뒤 현재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상당시간 유지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동시장이 어느정도 나아지긴 했지만, 실업률이 거의 바뀌지 않았고 여전히 노동인구가 상당부분 충분히 고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일부 노동시장지표가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