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新인류 모바일리안] 모바일리안시대..SNS타고 번진 시사풍자어 열전

[新인류 모바일리안] 모바일리안시대..SNS타고 번진 시사풍자어 열전

기사승인 2014. 11. 11.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창간 9주년]
모바일 시대가 되면서 사람들은 다양한 사회현상을 ‘자기화’하기 시작했다. 재치있는 언어로 사회의 모순점을 꼬집고 분노의 대상을 유머로 승화시키는 모바일 속 대한민국의 2014 풍자 이모저모를 알아본다.

< 1 > ‘모피아’에서 ‘박피아’까지, 사회 폐부 찌르는 풍자

박피아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이 지난달 발간한 박피아 인명사전. 205명의 명단이 수록됐다.
세월호 침몰 사고 원인이 대한민국 사회의 적폐(積弊) 즉 오랫동안 쌓이고 쌓인 관행·부패·비리 등 폐단이라는 지적이 나오면서 ‘관피아’라는 말이 동시에 등장했다.

‘관피아’는 공무원을 뜻하는 ‘관료’(官)와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의 범죄조직을 일컫는 ‘마피아’(Mafia)가 합쳐진 단어로 자신들의 기득권 보호를 위해 관료조직이 범죄조직처럼 거대한 세력을 구축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들은 학연, 지연, 관연을 이용해 정부부처, 공공기관 등에 재취업을 거듭하면서 국민을 위해 일한다는 명목으로 비리를 저질러 국민들의 분노를 샀다.

어딘지 낯설지 않은 이 합성어는 앞서 2008년 재무부 출신 인사들의 정계진출을 뜻하는 모피아에서 비롯된 것이다.

시민 강모씨(30·영등포구)는 “모피아는 들어본 적이 없지만 관피아는 SNS에서 지인들이 쓰는 것을 많이 봤다”면서 “당사자들이 이 단어를 듣고 뜨끔해서 반성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해양수산부와 해운업계가 결탁한 해피아, 국토교통부와 건설업계의 국피아, 철도교통부와 ‘철피아’ 등도 언론에 오르내렸다. 정부 역시 공직자 윤리법 개정안을 내놓으며 ‘관피아 방지법’이라는 이름을 붙여 알리기도 했다.

야당에서는 이 틈을 타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선임된 공공기관장들 가운데 상급부처 공무원이나 정치권 출신 ‘낙하산’을 ‘박(朴)피아’‘라고 규정짓고 인명사전도 펴내는 등 정치 공세에 단어를 이용하기도 했다.

< 2 > SNS 속 항변, 분노보단 ‘유머’

포장게임
구글플레이스토어에 등장한 시뮬레이션 게임 ‘대포장시대’ /사진=구글
“질소를 샀더니 덤으로 과자를 주더라는 말 들어보셨습니까?”

지난 9월 12일 공중파 M사 방송 9시뉴스 앵커는 뉴스 꼭지를 소개하며 이 같이 말했다.

시민들이 눈속임 과대포장을 하는 국내 제과회사들에 문제를 제기하며 SNS에서 하소연하던 표현을 언론사가 받아 사용한 예다.

시민들은 SNS에서 뻥튀기 포장으로 공기가 빵빵한 과자 제품을 두고 “사실은 물에 빠졌을 때 사용하는 구명도구이며 안에 들어있는 것은 비상식량” “감자칩이 아니라 질소칩”이라며 경쟁적으로 기발한 농담들을 쏟아냈다.

급기야 구글애플리케이션스토어에는 ‘대포장시대’라는 시뮬레이션 게임까지 등장했다.

개발자 앤드와이는 “국산과자의 미래라는 동영상을 보고 한번 만들어봤다. 한국의 세계최고 과자 포장기술력을 보여주기 위한 게임”이라며 ‘뼈 있는’ 설명을 덧붙였다.

‘더 가볍고’ ‘더 재미있는’ 메시지를 원하는 신 모바일인류는 유머라는 형식을 빌려 문제점에 일침을 가한다. 성명서, 탄원서를 내거나 농성을 하는 등의 진지하고 무거운 대응방식은 실시간으로 정보가 쏟아지는 SNS에서 오히려 확산되지 못하고 묻혀버리기 마련이다.

< 3 > 국정감사도 휩쓴 SNS 신조어

지난달 열린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가카의(각하의)톡’ ‘다카오(다음카카오)톡’이란 단어가 널리 회자됐다.

수사기관이 박근혜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하는 발언을 일벌백계하기 위해 모바일 메신저를 검열하는 행위를 풍자한 말로, 야당 의원들은 이를 활용해 정부를 압박했다.

다카오는 박근혜 대통령의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일본식 이름과 비슷해 누리꾼들의 레이더망이 걸렸다.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 감사에서는 제조업체들이 단말기 보조금을 미리 판매금액에 반영해 단말기 출고가를 높게 책정한다는 지적과 함께 ‘글로벌 호갱님’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

호갱은 호구와 고객이 합쳐진 신조어로 실제보다 더 돈을 내고 물건을 속아 사는 사람을 말한다.

이외에도 ‘깡통외교’, ‘황제노역’, ‘손톱및가시’ 등 SNS발 신조어는 이제 국회의 테이블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감초가 됐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