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러시아發 금융위기 논란..국내경제 여파는?

러시아發 금융위기 논란..국내경제 여파는?

기사승인 2014. 12. 18.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실물경제 '기우' 주식·채권시장은 '변수'
러시아 '디폴트' 우려도
국제유가 하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러시아발(發) 금융위기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러시아 중앙은행이 전날 정책금리를 연 17.0%로 6.5%포인트 인상했지만 급락하는 루블화 가치를 되살리기엔 역부족이라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 국내 경제 악영향은 ‘기우’?

러시아발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정부는 우리나라 수출·수입 등 실물경제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수출 가운데 대(對)러시아 수출 비중은 2.0%, 수입은 2.2%이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 대러시아 수출이 늘고 있지만 아직 비중이 큰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정부는 실물시장 외 금융시장에 대해서도 위기론은 ‘시기상조’로 보고 있다.

먼저 외환보유액을 늘리고 금융기관에서의 자금유출 대비능력을 높였다는 측면이 있다.

한은의 ‘11월말 외환보유액’ 자료에 따르면 11월말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3631억 달러로 7위를 기록했다.

과거 IMF와 2008년 금융위기를 겪은 뒤 금융기관 단기 자산을 줄이고 장기 자산을 늘려 위험성을 줄였다는 주장도 있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2008년 리먼 사태 터지고 4~5개월간 5~600억 규모의 은행 단기자금이 많이 나갔다”며 “이후 은행들이 단기를 줄이고 장기 쪽이 많아지는 등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 주식시장·채권시장이 ‘변수’

변동성이 크고 시장상황을 가장 먼저 반영하는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 대해서는 아직 안전하지만 앞으로 두고봐야 한다는 입장이 우세하다.

러시아 환율 급락에도 채권금리는 오히려 올라 채권시장은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반면 코스피는 시장의 변동에 따라 출렁이고 있어 이날 1900선에 턱걸이를 했다.

박 실장은 “투자자들은 아무래도 안전자산을 선호하기 때문에 최근 추세적으로 (주식투자가) 비교적 덜 들어오는 등 신규진입이 적은 것 같지만 일방적으로 확 뺄 것 같진 않다”면서 “위기를 초래할 만큼 심할 것인지는 시장 경색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 한은 관계자들은 태국·중국 등 외국 중앙은행들이 외환보유액 관리 측면에서 장기로 국내 국채·통화안정증권(MSB) 등을 보유하고 있어 자금 안전성은 높다는 입장이다. 한은에 따르면 외국인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 채권 약 98조6000억원 가운데 투자 주체별로는 비교적 장기 투자 성격을 지닌 외국 중앙은행 투자자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작년 미국이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을 결정하면서 여타 신흥국들이 출렁일 때 우리나라 경제는 비교적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우리나라를 신흥국과 선진국 중간 정도로 보고 있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크고 작은 경제 이벤트들로 금융시장이 출렁여 동남아 신흥국에서 돈을 빼더라도 우리나라는 오히려 자금이 들어오는 경향도 보이기 때문이다.

다만 우리나라는 아직 채권쪽으로 큰 충격 받아본 적 없으며,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외국인 채권 투자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아직 채권시장 관련해서 위기를 겪어보지 않아서 만약 발생한다면 제대로 대처할 수 있을지 두고 봐야 한다는 것이다.

◇ 최악의 시나리오는?

러시아발 금융위기가 우리나라에도 번진다면 채권 가격이 급락하고 채권 금리가 폭등해 장기금리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장기금리가 오른다면 금융기관의 국내 채권 투자 비중은 크지 않더라도 금융기관 채권 투자 손실이 많아지고 1060조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이 높아지는 등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러시아의 디폴트(채무 불이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러시아는 1998년 디폴트를 선언했던 전적이 있다.

한은에 따르면 10월말 현재 러시아의 외환보유액은 4286억 달러로 중국·일본·스위스에 이어 4위를 기록하고 있다. 적지 않은 외환보유액이지만 러시아 금융기관에서 자금유출 정도가 심해진다면 국가 디폴트로도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2008년 금융위기를 겪은 뒤 미국과 통화스와프를 체결했지만 러시아는 미국과의 관계도 좋지 않아 스와프를 체결하지 않은 실정이다.

박 실장은 “사태파악이 먼저”라며 “(러시아발 위기가) 단기에 그칠 것인지, 본격적인 금융시장 경색까지 갈지는 불확실하기 때문에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서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