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원전 자료 잇단 대거 유출…국가안보 구멍·산업스파이 입수 우려

원전 자료 잇단 대거 유출…국가안보 구멍·산업스파이 입수 우려

기사승인 2014. 12. 22.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원전 기밀 유출 7차례 경고했으나 사흘간 방치...'늑장대처' 도마위
유출경로 원인 파악 안돼 '속수무책'
안일한 대응, 국가경제 위협
한국수력원자력-주요사고-일지
한국수력원자력의 임직원 개인정보와 원전 설계도, 아랍 원전 수출과 관련한 박근혜 대통령의 친서까지 대거 유출돼 국가 안보 시스템에 구멍이 뚫렸다. 특히 내부 자료가 산업 스파이 등에게 넘어갔을 경우에는 후발주자와 기술격차 등을 좁혀 국가경제에도 막대한 타격을 입힐 것으로 보인다.

실제 최근 국내 한 중소기업은 원전 기자재 관련 기술인 플랜트 지반 지지대 매입철물 공급 계약을 통해 1000만 달러를 수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를 반대로 이야기하면 기자재 관련 기술 하나도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산업스파이가 원전 기술을 노리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최근 중국으로 핵심기술을 유출당하는 일본기업이 늘고 있다. 일본은 정부차원에서 정보기관들이 나서 산업기술 유출에 대한 보안시스템 강화 등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일본의 한 언론은 “최근 중국 정보기관이 주력하는 분야가 바로 산업스파이”라고 보도했다. 물론 국가적 기밀정보를 노리는 첩보원도 존재하나 항공 및 로켓 기술, 신칸센, 원전 등의 관련기업에도 중국 정보기관이 활발하게 공작을 펼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원전 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더욱 보안이 생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수원은 월성·고리 원전 도면을 유출한 블로거의 사전 경고를 사흘간이나 방치했던 것으로 드러나는 등 한수원의 늑장대처가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1일 새벽 자신을 원전반대그룹의 회장이라고 소개한 해커 A씨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를 통해 한수원의 내부자료를 또 공개하면서 원전 가동을 중단하라는 협박성 경고까지 했다. 지난 15일 처음으로 내부자료를 공개한데 이어 네 번째다.

현재까지 파악한 유출 자료는 월성 1호기 감속재 계통 및 배관설치 도면, 고리 1·2호기 배관계측 도면에 쓰인 범례, 고리 1·2호기 보조건물 냉각수 계통 도면, 월성 1호기 주제어실 내 급수 및 복수계통 패널 사진, 아랍에미리트연합에 보낸 박근혜 대통령의 친서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수원 내부 자료를 공개하겠다는 글은 지난 15일부터 인터넷 블로그에 올라온 뒤 모두 7차례에 걸친 협박이 있었다. 하지만 한수원은 이틀이 지난 17일 언론 보도를 보고서야 정보 유출 사실을 알아챘고 원전 도면이 공개된 18일에서야 블로그 폐쇄를 요청하고 수사를 의뢰했다.

한수원은 앞서 지난 9일 다른 에너지 관련 공기업 등과 함께 정체를 알 수 없는 발신자로부터 악성코드가 담긴 이메일을 받는 등 사이버공격을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한수원은 당시 보안업체에 신고하고 컴퓨터에 보안패치를 설치하는 등 나름의 대응을 했으나, 해킹 흔적은 찾지 못해 정보 유출 가능성은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부 관계자도 “지금까지 파악한 유출자료와 도면을 한수원이 기술 검토한 결과 이들 자료는 원전 운전·정비용 교육 참고자료”라며 “유출에 따른 영향은 미미하다”고 강조했다.

산업부와 한수원측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상의 상당 수 네티즌들은 관련 책임자들은 모두 문책해야한다는 등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현재 한수원은 유출 원인이나 경로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한수원의 보안시스템이 문제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한수원 직원 19명의 업무용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협력업체에 유출돼 협력업체 직원들이 직접 한수원 업무망에 접속해 작업허가서를 승인하고 폐기물을 반출하는 등 업무를 본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었다.

한수원의 보안 시스템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국가핵심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원전 설계도 등의 유출은 우리나라의 원전 수출에도 막대한 타격을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수원에서 사이버보안을 담당하는 인력은 53명으로 전체의 0.26%에 불과하다. 게다가 이 중 35명은 전담인력이 아닌 겸직으로 운영되고 있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