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예멘 남북 내전, 사우디-이란 ‘대리전’ 양상 번지나

예멘 남북 내전, 사우디-이란 ‘대리전’ 양상 번지나

기사승인 2015. 03. 01. 19:3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시아파 반군 후티의 쿠데타로 남북 내전과 재분단 위기에 놓인 예멘 사태를 둘러싸고 걸프국가와 이란이 정반대 행보를 보이고 있다.

예멘의 위기가 사우디아라비아가 대표하는 걸프지역의 수니파 왕정과 시아파 종주국 이란의 대리전으로 번질 조건들이 쌓여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예멘은 쿠데타로 북부의 수도 사나를 점령한 후티와 이들의 무력압박에 쫓겨나 지난달 21일 남부 아덴으로 피신한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으로 양분된 상황이다.

지난해 9월21일 후티의 사나 접수 이후 변변히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하디 대통령은 자신의 정치적 기반인 아덴에 자리 잡으면서 후티를 불법 쿠데타 세력으로 규정짓고 반격의 포문을 열었다.

지난 1월22일 후티에 감금된 채 발표했던 대통령직 사퇴 선언도 번복하고, 자신만이 국제사회가 인정하는 합법 정권의 수장이라며 자세를 완전히 틀었다.

하디 대통령이 남부 지역의 반 후티 세력을 부지런히 규합하면서 그를 지지하는 인근 걸프 국가도 힘을 싣고 있다.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UAE)·쿠웨이트는 사나 주재 대사관을 폐쇄하는 대신 지난달 27∼28일 아덴에서 대사관 업무를 재개한다고 발표했다.

사나의 후티가 아닌 하디 정권의 정통성을 인정한다는 상징적 조치다.

자말 베노마르 예멘 주재 유엔 특사 역시 지난달 초 후티의 쿠데타 직후 후티와 다른 정파간의 정치 협상을 중재했지만, 실패하자 지난달 26일 하디 대통령과 만나 정국 수습을 의논했다.

걸프국가가 재빠르게 하디 대통령의 편에 선 것은 후티가 이란의 걸프지역 진출의 교두보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2011년 2일 바레인에서 수니파 왕정에 반대하는 다수 시아파 국민의 반정부 시위가 발발했을 때 사우디는 자국 군대를 파견, 유혈진압했고 이를 다른 걸프지역 수니파 왕정은 묵인했다.

그만큼 걸프 국가들은 안정되고 부유한 수니파 왕정의 근간을 흔드는 시아파 또는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의 확산에 민감하다.

예멘을 대하는 이란의 태도는 이들과 대조된다.

예멘 국영 사바(Saba)통신은 지난달 28일 테헤란에서 예멘의 민간항공청(CAMA)과 이란 민간항공기구(CAO)가 항공 분야와 관련한 양해각서를 맺었다고 보도했다.

양해각서는 예멘 국적항공사 예멘항공과 이란마한항공이 주 14회 테헤란과 사나를 운항하고 관련 기술을 교류한다는 내용이다.

CAMA를 비롯한 예멘의 정부기관은 물론 Saba 통신도 후티의 통제하에 있다.

민간 부문의 협력이지만 이란은 정부간 협상 상대로 후티를 공식 인정한 셈이다.

호세인 아미르 압돌라히안 이란 아랍담당 외무부 차관은 지난달 27일 국영 IRNA통신에 예멘의 재분단은 어느 편에도 해가 된다면서 ‘아덴발’ 내전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이란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IRNA통신은 이 기사에서 “안사르 알라(후티)가 하디 대통령에게 복귀할 시간을 줬는데도 그는 거부하고 아덴으로 떠나서는 사우디와 손잡고 예멘 국민이 이룬 혁명을 무너뜨리겠다고 선언했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