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일본 역사연구자, 일제 ‘강제동원 조선인 사망자 명부’ 책 펴내

일본 역사연구자, 일제 ‘강제동원 조선인 사망자 명부’ 책 펴내

기사승인 2015. 03. 02. 09:3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일본인 역사 연구자가 30년 가까이 자국 각지를 다니며 파악한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조선인 사망자 1만여 명의 명단을 책으로 정리해 발간했다.

조선인 강제징용 문제에 천착해온 현대사 연구자 다케우치 야스토(竹內康人·58) 씨는 ‘전시(戰時) 조선인 강제노동 조사자료집-연행처 일람·전국지도·사망자 명부’(267쪽·고베학생청년센터 출판사)를 1월 말 펴냈다.

다케우치 씨의 이번 책에는 ‘국가총동원법’에 따른 일제의 조선인 강제연행이 이뤄진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각지로 끌려가 현지에서 사망한 조선 출신 군인·군속·근로자 등 1만 450여 명의 명부가 담겼다.

이는 1939∼1945년 일본과 동남아, 중국 등으로 강제연행됐다가 현지에서 사망한 조선인 전체의 3분의 1∼5분의 1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다케우치 씨는 밝혔다.

다케우치 씨가 2007년 7750명 규모의 사망자 명부를 1차 출판한 데 이어 8년 만에 낸 증보판인 이 책에는 일본 전역과 사할린으로 강제연행된 조선인들이 몸담은 약 2000개 사업장 이름과 장소, 지도상의 위치도 담겼다.

또 사망자 명부에는 각 사망자의 본적지, 일본서 일한 장소와 사망일, 당시 나이 등 신상 정보와 함께 갱내 화재, 낙반, 석탄 매몰, 전차 접촉, 가스폭발 등 사망 원인들도 파악된 경우에는 기재됐다.

애초 아시아 현대사에 관심이 많았던 다케우치 씨는 1970년대 김대중 납치사건, 재일 한인들이 간첩 누명을 쓰고 체포된 사건, 1980년 광주 민주화운동 등을 보고 한반도 문제에 관심을 가졌고, 1980년대 후반부터 강제징용 진상규명에 뛰어들었다.

그는 고향인 시즈오카(靜岡)현을 시작으로 후쿠오카(福岡), 홋카이도(北海道) 등 전국 각지를 다니며 강제징용된 조선인 관련 자료를 모았다. 2000년대 들어 일본 민간에서 시민단체 등의 전쟁시기 진상규명 운동이 활발히 일어나고, 한국 정부 차원의 일제강점기 피해 조사도 이뤄지면서 다케우치 씨의 작업은 더 힘을 받아 진행됐다.

방대한 자료를 수입하기까지 다케우치 씨는 엄청난 발품을 팔아야했다. 그는 각지의 강제노동 현장에서 사망자 명부를 수집해 조선인을 추려냈고 시민단체가 행정기관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받아낸 명단, 사망자를 매장 또는 화장한 기록을 담은 자료 등도 조사했다.

다케우치 씨는 1일 연합뉴스와의 전화에서 올해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이한다는 사실을 의식해 명부를 펴냈다고 밝혔다.

그는 “수교 50주년인 올해야말로 전쟁 피해자들의 존엄과 권리가 회복되는 형태로 일본과 한국 사이에 새로운 합의를 할 시기라고 생각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에 대해 지금까지 파악한 범위에서나마 피해자 이름, 강제동원 기업과 장소 등을 적시한 책을 냄으로써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기를 기대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과거 청산에 의해 민중은 역사를 획득하고 인권과 민주주의, 평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과거를 배우며 아시아의 평화를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다케우치 씨는 2005년 일본 내 시민단체인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 결성에 참여했고, ‘조사·조선인 강제노동’ 시리즈를 포함한 강제징용 관련 저서를 다수 집필한 바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