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서울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활기

서울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활기

기사승인 2015. 05. 25. 11:3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005년부터 올 4월까지 235건, 2만4276㎾ 생산 허가
서울형 FIT효과 톡톡… 2018년 햇빛발전소 100개소 설치
태양광을 중심으로 서울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서울시는 태양광 보급 확대를 위해 2018년까지 햇빛발전소 100개소 설치하고, 화력과 열병합 등 에너지자원도 다양화한다는 계획이다.

25일 시는 2005년부터 올해 4월까지 235건, 2만4276㎾규모의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 신청을 허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7663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허가건수 가운데 161건(1만8453㎾)은 가동 중이며, 63건(5832㎾)은 발전시설 설치를 준비 중이다.

이처럼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확산된 데에는 2011년 대규모 정전사태와 후쿠시마원전사고 이후 도입한 ‘서울형 발전차액지원제도’(FIT) 효과가 컸다고 시는 평가했다.

FIT는 100㎾이하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할 경우 시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실제 전체 허가건수의 86%인 203건이 2012년 이후에 설치돼 이를 뒷받침했다.

FIT효과는 건물옥상 등에 설치할 수 있어 도심지역에서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시설 보급 확대로 이어졌다.

발전시설별 설치 규모는 태양광이 전체의 95%에 달하는 224건(2만4276㎾)으로 가장 많았고, 소수력 8건(616㎾) 연료전지 2건(4800㎾), 바이오가스 1건(1065㎾) 등이다.

태양광발전의 경우 2005~2011년까지 30건(2482㎾)이 허가 받는데 그쳤으나, 2012년 26건(4544㎾)으로 늘었고 2013년에는 사상 최대치인 91건(1만1246㎾)까지 치솟았다.

이후 발전산업의 양대수익원인 계통한계가격(SMP)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되자 허가건수는 2014년 60건(3697㎾), 올해 들어 4월까지 17건(2307㎾)으로 줄었다.

시는 이에 대해 “2014년 발전사업 허가건수가 전기단가 하락 등으로 60건에 불과하지만 경제요인을 감안하면 발전사업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시는 이와 함께 전력자립률 향상을 위해 에너지원을 다각화하는 방안을 마련, 추진 중이다.

우선 신·재생에너지 공급 확대를 위해 지난해부터 5곳의 협동조합에 공공부지 9개소를 제공, 505㎾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 2018년까지 공공부지 임대료 인하와 발전소 설치비 저리융자 지원 등을 통해 20개소의 햇빛발전소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LNG를 연료로 하는 서울화력 4·5호기, 열병합발전, 구역형 집단에너지(CES), 연료전지, 바이오가스 등 에너지원을 다양화해 전력자립률을 높인다는 복안이다.

권민 녹색에너지과장은 “시내 곳곳에서 누구나 태양광 생산에 동참할 수 있도록 지원제도를 다양화하고, 사업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발굴,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