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메르스 정보 공유’ 국제 요구에도 ‘불통’…국제 고립 자초하나

‘메르스 정보 공유’ 국제 요구에도 ‘불통’…국제 고립 자초하나

기사승인 2015. 06. 04. 19:0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3차 감염자 중 첫 사망자가 나오고 환자와 격리자가 늘면서 국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국가음압병상 70%가 메르스 환자 치료에 투입되는 등 사실상 ‘비상상황’이어서 보건당국의 메르스 통제력과 치료여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홍콩 등 인접국가와 해외 의과학계의 메르스 정보 공개 요구가 빗발치고 있지만 정부는 ‘불통’ 모드여서 국제적 고립을 자초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 메르스 환자 35명·격리자 1667명

4일 보건복지부(복지부)에 따르면 메르스 확진자는 5명 증가한 35명, 격리자는 303명 늘어난 1667명으로 집계됐다. 자가격리자와 기관격리자는 각각 1503명·164명이며 격리해제 인원은 62명이다. 이날 대전의 80대 사망자가 최종 양성판정을 받아 3차 감염자 중 첫 사망자로 확인됐다. 보건당국은 국내에서 메르스 바이러스가 변이했는지 여부 조사에 착수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현재 메르스 환자 치료에 국가지정 음압병상 47개 중 33개가 투입됐다. 가용병상의 70% 수준. 국가지정입원치료병원 음압병상은 전국 17곳에 100병상 이상이지만 일부는 다인실이어서 환자 증가가 이어질 경우 감염자 치료에 투입할 격리병상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복지부도 음압병상 포화 상태를 상정한 최악의 사태를 대비하고 있다. 한 건물 내에서 다른 환자는 모두 이동시키고 의료진이 완벽한 개인보호구를 갖춘 가운데 메르스 환자만 진료하는 ‘코호트 입원 체제 계획’을 수립하겠다는 것이다.

일괄편집_KSI_2657
◇ 의료진 감염 증가 속 … 진료 논란

메르스 감염자와 격리자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치료할 의료진의 안전도 위협받고 있다. 이날까지 의료진 메르스 환자는 5명으로 늘어나면서 의료진 안전과 이들을 통한 환자 추가 감염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보건당국은 이날 2명의 의료진 감염이 확인되는 등 의료진 감염 문제가 불거지자 감염 우려가 있는 의료진들로 인한 추가 감염을 막는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의료현장의 현실은 보건당국 대책과 정반대다. 국내 첫 메르스 사망환자가 입원했던 경기도 모 병원 중환자실은 여전히 의료진 상당수가 격리조치 없이 정상 근무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사망 환자가 별도 격리조치 없이 6일간 중환자실에서 진료받은 곳이지만 그와 밀접 접촉했던 의료진은 자가격리 없이 출·퇴근하고 있다. 이 병원 내과 중환자실에는 10여명이 입원 치료 중으로, 이 중 1명은 발열 증상을 보여 유전자 검사 중이다.

◇ 격리자 관리 부실·정보공개 요구 부담

자가격리자 증가에 따른 관리 부실도 여전히 논란이다. 메르스 환자와 밀접접촉자로 분류돼 자가격리중이던 50대 여성이 지난 2일 남편과 전북의 한 골프장에서 골프를 친 사실이 확인되는 등 보건당국의 자가격리자 관리에 허점이 드러나고 있다.

보건당국은 전국 250개 보건소 인력을 동원해 자가격리자 관리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지만, 현실적으로 24시간 밀착감시를 하는 것은 불가능해 이들에 대한 완벽한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이들이 관리사각지대에 놓일 경우 이들을 통한 지역사회 3차 감염 대란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내 메르스 의심환자가 입국한 중국·홍콩 등 인접국가의 메르스 정보공개 요구도 보건당국으로서는 곤혹스럽다. 홍콩은 우리 보건당국에 메르스 감염환자를 치료했던 병원명 공개를 요구해왔지만 당국은 거절했다.

해외 의과학계 학자들도 메르스 퇴치를 위해 우리정부의 투명한 정보공개와 협조를 요구하고 나섰다. 영국 런던대 감염병 전문 교수 알리무딘 주믈라 교수를 비롯해 세계보건기구(WHO)·미국 등의 저명한 학자들은 ‘한국의 메르스 대처가 느리고 보건당국은 외부 도움을 받는 데 적극적이지 않다’, ‘한국 보건당국은 더 공개하고 자료를 공유하면서 해외 전문가들의 지원을 허용하라’고 지적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