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정부, 메르스 발생 18일만에 병원명 전격 공개 왜(?)

정부, 메르스 발생 18일만에 병원명 전격 공개 왜(?)

기사승인 2015. 06. 07. 13:4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부가 7일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지 18일 만에 메르스 환자가 발생했거나 방문한 병원명을 전격 공개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불필요한 오해 및 불안감 확산을 막기 위해 병원명 공개에 난색을 보였다. 하지만 특정병원을 중심으로 2차·3차 메르스 환자가 급증하는 등 상황이 악화되자 지난 5일 평택성모병원 이름 공개에 이어 모든 병원명을 공개했다.

이는 지난 3일 박근혜 대통령이 범정부차원의 전문 태스크포스(TF) 구성과 정보공개를 지시한데 따른 후속조치로 풀이된다. 아울러 조기에 메르스를 종식하겠다는 정부 의지가 반영된 결과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처음에는 병원명 공개 때 부작용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면서 “하지만 삼성서울병원을 포함해서 대전 지역 병원들에서 집중적인 환자 발생 경로가 보이기 때문에 전체를 공개를 하고 이에 대해 전부 대책을 세워야 되겠다는 입장에서 전격적으로 공개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일단 병원명 공개에 따른 여론의 대체로 긍정적이다.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사람에 대한 추적·관리가 용이해졌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무차별적 메르스 병원 루머 확산 등을 막는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보건의료노조 관계자는 “병원 공개로 국민이 의심스러운 상황에 대해 스스로 대처할수 있게 됐다”며 “지방자치단체도 병원이 공개된 상황에서 각자 대응책을 고민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병원명 공개로 해당병원에서 치료받던 환자들이 다른 병원으로 이동하거나 치료를 기피할 수 있는 만큼 병원경영을 보전할 정부의 피해보상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메르스 의심 환자를 선의로 치료했던 병원의 경영상 타격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병원명 공개 시점이 다소 늦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건당국의 초기 대응이 사실상 실패한 상황에서 첫 환자 발생 후 병원명 공개까지 너무 많은 시일이 소요돼 3차 환자까지 발생하게 됐다는 것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