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삼성서울병원 메르스 환자 전원 조치…부실한 감염관리 능력에 굴욕 자초

삼성서울병원 메르스 환자 전원 조치…부실한 감염관리 능력에 굴욕 자초

기사승인 2015. 07. 05. 08:1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보건복지부
보건당국이 삼성서울병원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 대부분을 다른 병원으로 전원조치했다. 삼성서울병원 의료진 감염이 늘면서 업무 강도가 높아진데 따른 조치라지만, 삼성서울병원의 허술한 감염관리가 굴욕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5일 보건당국과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에서 치료중이던 메르스 환자 16명이 대부분 다른 병원으로 전원 조치됐다. 국립중앙의료원과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등으로 12명이 이동했다. 남은 4명 중 1명은 퇴원했고 3명도 곧 병원을 옮길 예정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의심환자 50여 명만 맡게 됐다.

보건당국은 사실상 메르스 환자 치료에서 삼성서울병원을 배제한 것과 관련, 삼성서울병원 의료진의 메르스 노출 증가를 지적했다.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정은경 질병관리센터장은 “삼성서울병원의 많은 의료진이 확진 환자에 노출돼 자가격리에 들어감에 따라 남은 의료진의 업무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메르스 환자 전원은 다른 병원 감염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에서 현재 메르스 진정국면에서 선택하기 쉬운 카드가 아니다. 그럼에도 보건당국이 전원 카드를 꺼내든 것은 삼성서울병원이 초일류 병원에 걸맞지 않는 부실한 감염관리능력을 보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실제 삼성서울병원은 메르스 사태 이후 허술한 감염관리로 도마 위에 올랐다. 일례로 보건당국은 최근 삼성서울병원 감염관리자에게 개인보호구 착용·탈의법을 재교육 했을 정도다.

삼성서울병원은 메르스 환자 진료에 필요한 레벨D 보호구를 의료진에게 지급하지 않아 의사·간호사·방사선사 등이 감염됐고, 보호구를 규정대로 갖춘 이후에도 메르스 환자를 진료한 의사와 간호사가 확진 판정을 받는 등 ‘메르스 2차 확산’의 유행지가 됐기 때문이다.

실제 메르스 사태 이후 환자의 절반은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했다. 메르스 사태 초기인 5월 27∼29일 슈퍼환자 14번 환자로 인한 대규모 감염을 막지 못한 책임의 경우 삼성서울병원과 보건당국 모두 책임져야 할 문제다.

하지만 보건당국과 삼성서울병원이 병원 부분폐쇄 등을 감행하며 감염 관리 수위를 최대로 끌어올린 6월 13일 이후에도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삼성서울병원의 근본적 감염관리 능력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보건당국은 삼성서울병원에서의 메르스 환자 추가 발생 지속이 메르스 감염예방 기본 수칙 미준수·감염관리 허술 등에서 비롯됐다고 판단, 삼성서울병원 환자의 다른 병원 전원 조치라는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다는 분석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