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2016년 한국경제 위험요인은?

2016년 한국경제 위험요인은?

기사승인 2016. 02. 08. 08: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국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암울한 가운데 불안감을 조성하는 요인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7일 ‘2016년 국내경제 진단’ 보고서에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수요 둔화와 중국의 성장 저하, 자원수출국 리스크(위험) 지속을 악재로 꼽았다.

전기·전자, 철강, 조선, 디스플레이 등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의 수요가 줄고 중국, 일본 등과의 경쟁이 더 심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 지난해 개별소비세 인하 등 소비부양책 효과가 올해 줄어들고 가계의 소비심리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최근의 생산성 저하 추세가 개선되지 못한다면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은 2016∼2020년 연평균 2.5% 수준에 머물고 2020년대에는 1%대까지 낮아질 것으로 추정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2015∼2018년 연평균 잠재성장률로 추산한 연평균 3.0∼3.2%보다 훨씬 낮은 것이다.

급증한 기업 및 가계 부채는 한국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지목됐다. 작년 9월 말 현재 공기업을 포함한 전체 기업 부채는 1631조7000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106%에 달한다.

비금융 상장기업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 이하로 부채 상환 능력이 취약한 기업의 비중은 지난해 29.9%다. 이들 기업의 평균 차입금 규모는 작년 말 2281억원으로 2010년 말(1732억원)보다 늘면서 구조조정 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급증한 가계 부채는 올해 원리금 상환 부담을 증가시켜 소비를 위축시킬 것으로 우려했다. 올해 고용활력도 작년보다 낮아질 것으로 봤다. 기업들의 장기 성장에 대한 기대가 낮아져 지난해 9.2%를 기록한 청년 실업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정년이 60세로 연장된 것이 기업들의 신규 채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세대 간 갈등을 키울 요인으로 꼽혔다. 연구원은 수출과 제조업 부진이 장기화하는 과정으로 보인다며 “경제활력의 동인을 내수 분야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산업의 성장에서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