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비이자수익’, 은행권 수익성 개선 구세주

‘비이자수익’, 은행권 수익성 개선 구세주

기사승인 2016. 02. 11.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Print
계속되는 저금리 등으로 위기에 몰린 시중은행권이 ‘비이자수익’을 대폭 늘려 수익성 제고에 나섰다. 지난해 전통적인 수익원인 이자수익은 감소한 반면, 비이자수익은 50% 가까이 늘어났다.

비이자수익은 이자수익과 달리 대출·송금시 발생하는 수수료, 펀드나 방카슈랑스 판매 수수료 등 부가적인 이익을 말한다. 최근 몇년 사이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가계부채 부실률이 높아져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다 저금리 기조에 이자수익 감소로 고민하고 있는 은행권에선 비이자 수익을 늘리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여겨졌다. 금융당국도 은행의 부실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은행의 성적표라 할 수 있는 성과평가지표(KPI)에 비이자수익 비중을 높이도록 독려해왔다.

하지만 은행권의 비이자수익 확대가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국내 은행의 비이자 수익 구조는 상당수가 수수료 수익에 편중되어 있는데다 해외와 달리 은행·증권·보험 등 금융기관별 업무영역이 명확하게 구분된 상황에서 비이자 수익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신한·KB·하나·농협 등 4대 금융지주의 비이자수익은 총 4조9439억원으로 2014년보다 47.6%(1조5953억원) 늘었다.

이 중 비이자수익을 가장 크게 늘린 곳은 신한금융이다. 신한금융의 2014년 비이자수익은 1조2778억으로, 지난해에는 이보다 40.3% 증가한 1조7927억원을 기록했다. 신한금융의 비이자수익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수수료이익은 지난해 1조6210억원을 기록, 2014년보다 10.3% 늘었다. 이 중 신탁과 증권수탁 수수료이익은 각각 43.5%, 40%씩 늘었다. 지난해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이익은 1조323억원을 기록해 2014년보다 37% 증가했다.

하나금융의 지난해 비이자수익은 2조1755억원을 기록, 2014년(1조6610억원)보다 31%증가했다. 투자일임 및 운용수수료와 증권중개 수수료는 각각 63.9%, 39.6%씩 늘었다. 특히 인수주선·자문수수료는 2014년 341억원에서 2015년 617억원으로 증가해 80%가 넘는 증가율을 보였다.

KB금융의 지난해 비이자수익(순수수료이익)은 1조5350억원으로, 전년보다 11.0% 증가한 규모다. KB금융의 비이자수익 중 가장 크게 차지하고 있는 신용카드수수료이익은 2014년보다 12.4% 증가한 4702억원을 기록했으며, 특히 신탁이익은 지난해 3756억원으로 2014년보다 17.3% 늘었다.

농협금융의 경우 지난해 비이자수익은 5593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2014년도 9729억원 적자였던 수준에서 4000억원 가량 적자폭을 줄였다.

금융지주사들이 이처럼 비이자수익을 늘리는데에는 그동안 은행의 큰 수익원이었던 예대마진(예금과 대출 금리 차이로 인한 수익)이 저금리 기조로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실제 4대 금융지주사들의 이자수익은 2014년도 27조2827억원에서 지난해 25조8072억원으로 약 5% 줄었다.

이에 금융지주사들은 펀드나 방카슈랑스·신탁·증권수탁 등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이익인 ‘비이자수익’을 늘려 수익구조 탈바꿈을 시도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은행들이 수익성 강화를 위한 ‘수수료 현실화’에 동의하면서도 적극 나서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모바일·인터넷뱅킹 등으로 현금인출기 수수료는 크게 줄어들었을 뿐 아니라 한 번에 금융계좌를 쉽게 옮길 수 있는 ‘계좌이동제’를 위해 수수료 면제 등의 상품을 내놓은 바 있다. 또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고객들의 투자 수요 감소가 예상되면서 펀드나 방카·신탁 등 판매 수수료 전망도 밝지만은 않다. 앞서 금융지주 수장들이 자산관리나 기업투자금융·투자은행(IB) 등의 부문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한 이유이기도 하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난해는 금융권의 저금리가 계속됐기 때문에 고객들의 투자 수요가 일반 예금에서 펀드나 방카·ELS쪽으로 많이 움직였다”며 “고객들의 자금이 펀드나 방카쪽으로 움직여 비이자수익이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도 글로벌 금융 위기라고 할 만큼 고객들의 예금 수요가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금리 인상 등 국제적인 이슈에 따라 투자 방향성이 정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