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세계경제 혼돈...마이너스 금리 도입은 시장불안 촉발제

세계경제 혼돈...마이너스 금리 도입은 시장불안 촉발제

기사승인 2016. 02. 14. 14:1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JAPAN-STOCKS <YONHAP NO-1225> (AFP)
12일 일본 닛케이평균주가(닛케이225) 지수가 4.84% 하락한 14,952.61로 마감하며 2014년 10월21일 이후 1년4개월만에 처음으로 15,000선을 밑돌았다. 출처=/AFP, 연합뉴스
글로벌 증시와 통화, 원자재와 채권 등의 세계 금융시장이 험난한 난국을 맞고 있는 가운데, 각국 중앙은행들이 도입하고 있는 마이너스 금리가 최근 불어온 위기의 촉발제로 지목되고 있다.

14일 블룸버그 자료에 따르면 연초 이후 글로벌 증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하락률을 보이고 있다. 올해 들어 MSCI 전세계지수는 연초 하락률로는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2월 이후 최대치인 10.5% 가량 하락했다. 국제유가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을 기준으로 이미 금융 위기 수준을 밑돌았다.

중국의 성장률 둔화로 확산된 세계 경제 침체는 최근 미국까지 전이되고 있는 양상으로,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마이너스 금리까지 고려하고있어 오는 3월로 예상했던 두 번째 금리 인상 시기의 지연도 전망되고 있다. 블룸버그가 53명의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최근에 조사한 바로는 68% 가량이 오는 6월에 두 번째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내다봤으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9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미국이 앞으로 12개월 내에 경기침체에 진입할 가능성은 21%로 1년 전의 두 배 수준으로 높아졌다.

여기에 중국의 1월 외환보유액도 전월보다 995억 달러(119조 원) 줄어든 3조 2300억 달러(3800조 원)로 2013년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심리적 마지노선인 ‘외환보유액 3조 달러’가 무너지면 자본 유출세는 거세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데, 위안화 가치가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벌써 중국 부자들은 편법으로 재산을 국외로 빼돌리고 있는 상황까지 보고되고 있다.

인터내셔널뉴욕타임스(INYT)는 13일(현지시간) 중국 부자들이 친구와 친척들에게 1인 한도인 5만 달러(약 6000만 원)씩 해외 송금해달라고 부탁하거나 해외 부동산에 투자하는 식으로 위안화 재산을 처분한다고 전했다. 이들은 해외 사업체를 사거나 달러 채무를 갚는 등 합법적인 방법은 물론 여러 사람의 이름으로 분산해서 편법 송금하는 이른바 ‘스머핑’(smurfing)을 활용해 재산을 달러화 자산으로 바꾸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세계 경제 침체의 촉발제로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내놓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 지목되고 있다. 세계 최대 채권펀드인 핌코는 최근 보고서에서 마이너스 금리가 시장 불안을 촉발한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으며, 제프 군드라흐 더블라인 캐피털 최고경영자도 마이너스 금리가 상황을 악화시키기만 할 뿐 이라고 지적했다.

마이너스 금리는 중앙은행에 시중은행들이 돈을 맡기면서 역으로 이자를 내야 하는 정책으로, 강력한 경기부양의 조치로 해석된다. 중앙은행이 이 같은 정책을 도입한 것은 은행들이 중앙은행에 쌓아둔 예치금을 기업이나 가계에 대주도록 유도하려는 것으로, 이런 마이너스 정책 금리는 자국의 통화가치를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통화가치가 하락하면 수입재 가격이 높아져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로존과 덴마크, 스위스, 스웨덴에 이어 일본까지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면서 분위기는 반전됐다. 은행들이 경제 불안에 마이너스 금리에도 대출을 꺼리는 데다 오히려 금리 인하로 은행 수익원인 예대마진(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이 축소돼 수익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증시는 지난 1월 29일 중앙은행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이후 줄곧 추락하고 있지만 미국 연준마저 마이너스 금리 가능성을 시사했고, 유로존도 오는 3월 마이너스인 예금 금리를 추가로 더 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기준금리가 연 1% 미만인 캐나다, 노르웨이, 이스라엘, 영국 등도 마이너스 금리를 앞둘 것으로 전망돼, 일본에 이어 마이너스 금리 도입이 확산할 경우 각국의 환율 약세를 부추기면서 환율전쟁이 심화될 것이라는 부작용도 예상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