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초대형IB 놓고 ‘설왕설래’하는 증권가

초대형IB 놓고 ‘설왕설래’하는 증권가

기사승인 2016. 07. 27.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주요-증권사-자기자본-규모
‘초대형 투자은행(IB)’의 자기자본 기준을 놓고 증권가의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자기자본을 현재 3조원 수준으로 유지해야한다는 입장과 5조원 이상으로 높여야한다는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 초대형 IB 육성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자기자본 ‘5조원 이상’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가운데, 선정 업체들에게는 대출한도 확대와 종금형 종합자산관리계좌(CMA)허용, 영업용순자본비율(NCR) 규제 완화 등의 혜택이 주어질 예정이다.

◇ 글로벌IB의 필수조건 ‘자본력’…“5조 이상으로 확충해야”
금융당국이 증권사의 자기자본 규모를 확대하는 이유는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글로벌 IB들과 맞설 수 있는 초대형 국내 IB 양성이 목표다. 자본력을 바탕으로 신용공여, 대형 인수·합병(M&A) 참여, 해외진출 확대에 나서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자본금 규모가 가장 큰 증권사는 미래에셋대우(5조8000억원)다. 이어 NH투자증권은 4조4000억원, KB투자증권(+현대증권) 3조9000억원, 삼성증권 3조5000억원, 한국투자증권 3조3000억원 수준이다. 글로벌IB인 골드만삭스(91조원), 노무라증권(28조원), 중신증권(18조원) 등의 자기자본에는 한참 못미친다.

증권사들도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는 사실에는 동의한다고 입을 모았다. 문제는 당장 큰 돈을 조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대형증권사 관계자는 “자본 확충이 더이상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는 것은 모든 증권사가 인지하고 있다”며 “다만 현실적으로 수조원의 자금을 바로 확충하기는 어려운 만큼, 일정 유예 기간을 둔 후 점진적으로 자본을 확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나와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10조원 이상으로 기준을 상향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10조원 이상은 돼야 글로벌 업체들과 경쟁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실효성을 보려면 5조원 수준으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 미래에셋대우 특혜 논란…“규제부터 완화해야”
증권사들 대다수는 자기자본 5조원이 넘는 미래에셋대우를 위한 특혜성 제도가 아니냐는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 외에는 자본금이 5조원을 넘는 증권사가 없기 때문에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정책의 일관성이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초대형IB를 도입한지 3년도 안돼 또 새로운 정책을 내놓으며 혼란만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주장이다.

국내 증권사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지 못하는 이유가 자본규모 탓은 아니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초대형 IB를 키우기 위해서는 무작정 자기자본만을 늘리기 보다는 실질적으로 레버리지 비율 등의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레버리지 비율은 증권사의 자기자본 대비 총자산 비율로, 금융당국은 자본금의 11배 이상으로 자산을 불리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증권사 연구원은 “응당 자본 규모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자기자본을 늘리는 것은 레버리지를 활용하기 위함인데, 자본 확대만을 강요하기 보다는 레버리지 비율을 높여 운용 자산을 늘리는 것이 증권사들이 가장 바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