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취재뒷담화]대우조선 살리고 한진해운은 청산…속내는?

[취재뒷담화]대우조선 살리고 한진해운은 청산…속내는?

기사승인 2016. 09. 01.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진해운, 법정관리 신청 절차 논의 위한 긴급이사회
“대우조선해양과 한진해운은 상황이 판이하게 다르다.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해봐야 한다.”

한진해운의 한 채권단 고위관계자는 법정관리에 돌입하는 한진해운의 사례는 대우조선과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면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도산이 될 경우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대우조선과는 달리 한진해운은 그 여파가 적을 뿐더러 추가 지원을 하게되면 되레 더 큰 재앙이 닥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두 기업의 엇갈린 운명은 사실상 결정권을 지닌 정부의 판단이 ‘사회적인 비용이냐’ ‘국부유출이냐’로 나뉘었기 때문입니다.

우선 조선업과 해운업은 우리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큰 격차가 있습니다. 지난해 대우조선에 대한 유동성 지원 직전에 이뤄진 실사 결과에 따르면 거제도에서 공정이 진행 중인 선박·해양플랜트에는 25조원 가량이 투입됐습니다. 대우조선이 도산할 경우 이는 그대로 고철덩어리로 전락해 매몰비용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대우조선이 무너지게 되면 협력업체들의 연쇄도산이 이어지게 됩니다. 지난 3월 기준으로 대우조선의 협력사는 144곳으로 거제도에 조선소가 위치한 삼성중공업과 상당 부분 겹칩니다. 이들이 납품대금을 지급받지 못해 경영이 어려워지면 결국 삼성중공업의 납품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습니다.

대우조선은 노동집약적 특성이 강한데 비해 한진해운은 자본집약적인 기업이라는 점도 따져봐야 합니다. 대우조선은 국내에 있는 생산설비와 근로자들을 중심인 기업으로 채권단이 자금을 지원하더라도 국내에서 돈이 돌게 됩니다.

그러나 해운업은 선주들에게 배를 빌려 영업을 하는 자본집약적인 산업입니다. 현재 한진해운이 보유한 선박 대다수는 해외 선주들에게 빌린 것으로 채권단이 자금을 지원하더라도 이들의 외상 값으로 나가게 되는 셈이죠. 오너가 있는 기업의 해외채권을 금융사가 나서 대신 갚아주는 모습을 보인다면 국민적인 지탄이 불가피합니다.

국내 1위 컨테이너선사인 한진해운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면 실업과 지역경제에 미칠 타격은 불 보듯 뻔합니다. 그러나 반대급부만을 생각하는 방식은 소탐대실에 빠질 수 있습니다. 정부의 이번 결정이 훗날 ‘옥석을 가려 살린다’는 구조조정 원칙의 성공사례로 기억되길 희망합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