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이모가 다 해줄게”...조카바보가 알아야 할 육아원칙 3가지

“이모가 다 해줄게”...조카바보가 알아야 할 육아원칙 3가지

기사승인 2016. 09. 23. 16:0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내 자식은 아니지만 모든 걸 주어도 아깝지 않다’


조카가 너무 예뻐서 365일 선물 사주고 싶다는 이른바 ‘조카바보’들이 늘고 있다. 조카를 친딸, 친아들처럼 아끼고 사랑하는 조카바보들.


연예계 대표 '조카바보' 배우 한지민 / 사진=한지민 인스타그램
하지만 조카를 향한 과도한 애정은 자칫 엄마, 아빠가 힘들게 세워놓은 교육원칙을 한 방에 무너뜨릴 수 있다.

조카사랑에도 지켜야 할 ‘선’은 있는 법! 사랑스런 조카의 올바른 가정교육을 위해 ‘조카바보’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에 대해 알아보자.

 

<조카바보, 이런 행동은 하지말자!> 

 

1. “좋은 건 다 우리 조카꺼” 
조카에 뭐든 다 사주고 싶은 게 이모, 고모의 마음. 백화점에 가면 아이들 옷부터 눈에 들어오고, 인터넷 쇼핑몰에선 장난감부터 검색하는 게 된다. 내가 사준 옷을 입고, 내가 사준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조카를 볼 때 그 뿌듯함이란!!


/사진=픽사베이

문제는 대부분의 ‘조카바보’들은 비혼족으로 아이를 낳은 경험이 없다는 점. 그래서 정말 아이에게 정말 필요한 게 무엇인지 따져보기보다, ‘최고급 선물’로 조카에게 인정받으려는 심리가 앞선다.  

아이를 키워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아이 옷과 장난감의 유효기간은 그리 길지 않다. 비싸고 좋은 옷도 한 계절 입고 나면 다음 해엔 작아서 못 입히거나, 각종 얼룩으로 집에서 막 입는 옷으로 전락하기 일쑤다. 특히, 점퍼루, 쏘서, 러닝홈 등 대형 장난감은 영유아기에 몇 개월 반짝 사용하곤 처치곤란 ‘짐’만 될 뿐.


따라서 조카에게 뭔가 사주고 싶을 땐 부모와 먼저 상의하도록 한다. 지금 아이에게 필요한 물건인지 무엇인지 물어본 후 실질적인 선물을 해주자. 또 물질 공세로 장난감 상자를 채워주기보다, 함께 할 수 있는 놀이를 통해 정서적 교감을 나누며 마음을 채워주는 ‘조카바보’가 되도록 하자. 

 

2. “원하는 건 뭐든 들어줄게”
“이모~ 핸드폰 보여주세요”, “고모~ 게임 해도 돼요?”  
조카가 초롱초롱한 눈망울로 부탁하면 흔쾌히 ‘오케이’를 외치는 조카바보들.  


하지만 조카에게는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나름의 생활규칙이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은 가지고 놀지 않기, 밥은 한 자리에 앉아서 먹기, 게임은 하루 30분만 하기 등등.


/사진=픽사베이
아이들은 이모나 고모는 부모보다 부탁을 더 쉽게 들어준다는 사실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이에 평소 부모 때문에 맘껏 하지 못했던 일들을 하게 해달라고 조르고, 조카바보들은 못이기는 척 하나, 둘씩 들어준다. 이때 옆에서 지켜보던 부모는 제재에 나서게 된다.

이런 상황은 심각하면 아이에게 부모에 대한 반감을 심어줄 수 있다. 자신에게 한 없이 너그러운 이모, 고모와 대비되면서 부모는 자신을 ‘억압’하는 존재로 여길 수 있다.  


게임을 오래 하겠다거나, 이미 있는 장난감과 비슷한 걸 또 사달라거나 누가 들어도 허용해선 안 되는 부탁은 마음 아프더라도 단호하게 거절하자. 만약, 허용해 줘도 되는지, 안 되는지 헷갈리는 부탁이라면, 반드시 부모에게 물어본 다음 행동한다.

 

3. “우리 조카 혼내지 마요”
조카의 눈물에 마음 아프지 않을 이모, 고모가 있을까? 당장이라도 안아주며 ‘우쭈쭈’ 해주고 싶은 심정일 것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조카에게 든든한 지원자가 돼주는 것은 좋지만, 부모가 훈육할 때 나서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잘못된 행동으로 아이가 혼나고 있을 때 옆에서 “괜찮아, 울지마. 그럴 수도 있지”, “에이~그만해. 애 울잖아” 등의 말을 하며 끼어드는 건 아이 교육을 망치는 행동이다.

부모가 아이를 훈육할 때는 ‘모른 척’하는 것이 제일 좋다. 아이가 부모의 이야기에 집중하도록 자리를 피해주자.

혹 그럴 상황이 안 된다면 아이와 눈을 마주치지 않도록 한다. 아이는 자기편이라고 생각하는 이모, 고모와 눈이 마주치는 순간, 어리광을 부리며 더 이상 혼나지 않게 도와달라는 신호를 보낼 것이다.


명심하자. 조카가 안쓰러워 무심코 뱉은 한 마디가 아이의 교육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