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제2금융권 찾는 1군 건설사…왜?

제2금융권 찾는 1군 건설사…왜?

기사승인 2016. 10. 24. 18:1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집단대출 규제로 지방 사업장 은행 잡기 '하늘의 별따기'
Print
은행들이 신규 분양주택에 대한 집단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실수요자들의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지방의 경우 대형 건설사가 입지 좋은 지역에서 분양을 진행한다 해도 지방사업장이라는 이유로 시중은행이 대출을 거부하는 사례가 많아,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방은행이나 제2금융권과의 대출 협의를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 8.25 대책 후 시중은행 대출 협약한 곳 42곳 중 ‘3곳’
24일 한국주택협회에 따르면 협회 회원사가 8.25대책 이후 분양(입주자 모집공고일 기준)한 사업장 42곳 중 중도금 집단대출 협약을 완료한 곳은 8곳이다. 이 중 KB국민·우리·신한은행 등 시중은행과 협의를 완료한 곳은 3곳에 불과하다.

아직 협의를 완료하지 못한 34곳 중 15곳은 사실상 시중은행의 대출거부 또는 대출금액 축소 등의 이유로 지방은행 및 제2금융권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34곳 대부분은 협의시기가 1차 중도금 납입 시점 이전인 내년 초로 연기 될 전망이고, 설령 집단대출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금리는 시중은행 금리(3.2~3.6%)보다 다소 높은 3.5~4.5%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방으로 갈수록 집단대출 한파가 거세다. 실제로 GS건설이 부산 남구 대연동에서 분양한 ‘대연자이’의 중도금 집단대출 은행은 새마을금고로 제2금융권이다. 1군 건설사 시공에 청약경쟁률이 평균 330대1로 올해 청약자가 가장 많이 몰렸던 곳 중 한곳인 점을 감안하면 의외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대연자이의 경우 중도금 대출 이자를 건설사가 부담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집단대출 규제를 체감하지는 못할 것”이라면서도 “중견이나 지방 건설사가 분양하는 지방 아파트는 대출 조건이 더 열악해 소비자의 부담이 더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 산 넘어 산…제2금융권 대출도 이달 말부터 규제
더 큰 문제는 이달 말부터 새마을금고를 비롯한 수협·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대출 문턱도 높아진다는 점이다. 당장 31일부터 이들 은행으로부터 토지나 상가·오피스텔을 담보로 돈을 빌릴 수 있는 한도가 담보가치 대비 최대 15%포인트 줄어드는데, 관련 규제가 집단대출로 어떻게 튈지 불안한 상황이다.

집단대출 은행 지정이 늦어지는 점도 문제다. 1~2년 전만해도 통상 아파트 분양이 시작되는 시점에는 집단대출 은행과 금리가 정해져 소비자가 알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대출 은행 잡기가 쉽지 않다보니 계약이 끝난 3~4개월 후에야 공지되는 경우가 많다.

계약자는 수억원짜리 아파트를 구입하면서도 자신이 몇 퍼센트대의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없고, 이후 예상보다 높은 대출금리를 감당해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최악의 경우 건설사가 대출은행을 섭외하지 못한다면 계약자가 신용대출로 중도금을 납부해야 하고, 이 마저 여의치 않으면 계약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공공분양 아파트인 경기도 수원호매실 A7블록·하남감일지구 B7블록·시흥은계지구 B2블록 등은 중도금 집단대출 은행을 구하지 못해 계약을 포기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주택협회 관계자는 “집단대출은 서민 실수요층에게 가장 중요한 주택구입 자금마련 방법인데, 이를 규제할 경우 주택구입 포기 등으로 서민층의 주거비 부담 증가 등의 피해가 우려된다”면서 “건설사가 분양계약 후에도 대출은행을 섭외하지 못할 경우 계약자가 신용대출로 중도금을 내야하고, 자금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계약을 포기해야해 사업장의 유동성 등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