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금융당국, 가계부채 급증한 우리은행 예의주시

금융당국, 가계부채 급증한 우리은행 예의주시

기사승인 2016. 10. 25.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금융당국이 2년간 30조원 넘게 총자산을 늘려온 우리은행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우려하고 나섰다. 우리은행은 올 3분기 가계부채가 7조원 넘게 증가했다. 이는 시중은행 중 가장 높은 증가폭이다.

금융당국은 우리은행이 향후 금리 인상이나 부동산 시장 폭락 등으로 인해 ‘자산 확대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고 보고 이번 가계부채 현황 점검에서 더욱 면밀히 따져볼 방침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 가계부채 급증과 관련한 지도를 내린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인 우리은행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가계대출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우리은행”이라며 “대출을 늘려 자산을 키워 수익을 내는 효과를 보려고 했으나, 지금은 오히려 부작용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주택가격이 폭락하거나 금리가 인상될 경우 돈을 갚지 못하는 ‘상환 충격’이 올 수 있어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을 눈여겨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은행의 올 3분기 가계대출 규모는 99조3140억원으로 지난해(92조2570억원)보다 7.6% 늘었다. 이 중 담보부 대출은 82조1640억원으로 전년대비 8.2% 증가했다. 가계대출을 담보별로 살펴보면 부동산(56.1%)과 신용이 17.5%, 보증서와 기타가 각각 10.8%, 14.8%로 담보대출 비중은 총 82.5%다.

금융당국이 우려하는 것이 현재 담보로 대출을 내준 부동산과 일반 대출 부분이다. 현재 1%대의 저금리로 연체되지 않고 이자와 원리금을 갚을 수 있겠지만, 향후 금리가 인상될 경우 이자 상환에 대한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차주들도 본전 대신 손해를 보면서 빚을 갚아나갈 수 있다. 앞으로 정부가 주택 물량을 줄이고 투기 분양이 많은 지역을 규제하기 시작하면 현재 부동산 가격보다 더욱 떨어질 수 있다.

자산 적정성 측면에서도 우려스럽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은 올 3분기 전년대비 20조원 증가한 312조원달하는 총자산을 기록했는데, 이는 금융자산과 함께 대출금액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앞서 이광구 행장은 우리은행 매각을 위해 매년 15조원의 자산을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이 행장의 취임 이후 2014년도말 279조원이었던 총자산은 지난해 291조원으로 12조원 늘었다. 이 중 원화대출금은 같은 기간 167조3000억원에서 185조2000억원으로 10.7% 증가했다. 올 3분기에는 312조원까지 늘리며 3분기만에 약 21조원에 달하는 자산을 늘렸다.

가계부채와 대기업·중소기업 등 원화대출금을 늘려 키운 총자산은 향후 부실 위험도 함께 따를 수밖에 없다.  


다른 은행들과 비교해 볼때도 우리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속도와 담보 비중은 위험한 수준이다. 신한은행은 올 3분기 가계대출 95조원을 기록, 전년 대비 6조9000억원(7.9%)늘렸으나 우리은행과 총량으로 따져보면 4조원 적은 규모다. 이중 부동산과 예금을 포함한 담보 대출 비중은 75%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115조3000억원의 가계대출금을 올 3분기 121조원으로 약 6조원(5.4%)늘렸고, KEB하나은행도 지난해 87조6910억원에서 올 3분기 90조원으로 약 3조원(3.5%) 늘렸다.

특히 최근 정부는 아파트 집단대출 급증으로 인해 강남 지역에 분양권 전매 제한 강화 등과 같은 규제를 예고하고 나서면서 차주들의 부채 상환에도 적신호가 켜질 전망이다. 이 외에도 금융당국은 최근 시중은행들의 가계부채 총량을 점검하면서 자체적인 리스크 관리를 주문하고 있다. 더 이상 가계부채로 인한 부실 자산을 키울 수 없어서다.

우리은행은 2년새 대출이 많이 증가한 것은 맞지만, 중도금 대출과 같은 경우에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100% 보증한 비율이 약 95%에 달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제1금융권의 가계부채는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이율(DTI)을 따져 대출을 내줬기 때문에 향후 금리 인상에도 제2금융권의 가계부채보다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2년새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은 그동안 우리은행이 기업대출 비율이 높아 가계와 대기업 대출 비중을 맞추려고 했던 것”이라며 “향후 금리 인상은 물론 서울과 경기 등 대도시 집값은 크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