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불안한 안보관에 기름부은 문재인

불안한 안보관에 기름부은 문재인

기사승인 2017. 04. 20. 17:0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포토] 문재인 '지지 호소'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20일 강원 춘천시 중앙로에서 열린 춘천지역 집중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송의주 기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5·9대선을 불과 19일 앞둔 20일 ‘북한 주적(主適)’ 논란에 휘말리며 안보 검증대의 한 가운데 서게 됐다. 문 후보는 19일 밤 한국방송(KBS) 대선 후보 텔레비전(TV)토론에서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로부터 ‘북한이 우리 주적인가’라는 질문을 받자 “국방부가 할 얘기지, 대통령이 할 말이 아니다”면서 계속 답변을 피했다.

이에 유 후보는 집요하게 이 문제에 대한 문 후보의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하지만 문 후보는 “그렇게 극단적으로 말하지 말라”고 다소 신경질적인 반응까지 내놓으며 북한 주적 개념에 대한 명확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TV토론 도중 실시간 검색어로 ‘문재인 주적’이라는 단어가 상위권에 링크됐으며 이날 정치권에선 안보 문제로 순식간에 확산됐다.

당장에 홍준표 자유한국당,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등 보수 성향 후보들과 범보수 진영에서는 ‘문 후보가 불안한 안보관을 가졌다’는 맹공을 퍼부었다. 문 후보와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도 이날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지금 남북대치 국면 아니겠느냐”면서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주적”이라며 문 후보의 답변을 문제 삼았다. 유 후보 역시 전북 전주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 후보가 제대로 답을 못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을 주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듯이 말했다”면서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문 후보 측은 “유 후보가 주적 개념이 국방백서에 들어가 있다고 한 것은 사실이 아니고 역대 대통령들도 주적 개념을 명확히 발언하지 않았다”는 논리로 국면전환을 꾀했다. 문 후보는 이날 강원 춘천 강원대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으로 하여금 북한을 주적으로 공개적으로 천명하도록 하는 것은 국가지도자로서는 자격이 없는, (국정 운영을) 잘 모르는 발언”이라며 “북한을 우리 국방백서에서 주적이라고 규정했던 것은 과거의 일”이라고 반박했다.

또 문 후보는 “북한은 우리에게 복합적인 관계에 있다. 지금 군사적으로는 우리하고 대치하고 있고 위협이 되고 있는 적이 분명하다”면서도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 헌법에 의해서 우리 함께 평화통일을 해내야 될 대상이기도 하다. 그에 따라 각 부처들이 북한을 대하는 입장이 달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 후보는 “대통령은 그 모든 것을 다 함께 관장하는 종합적인 위치에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캠프 내에선 이번 사건이 자칫 ‘문재인 비토’ 정서를 자극하는 도화선이 될까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문 후보가 유력 대선후보이지만 보수층으로부터 유독 강한 거부감을 받고 있는 건 ‘불안한 안보관’을 말끔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문 후보는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위협으로 남북간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하는 상황에서 “당선되면 북한 먼저 가겠다”, “미국에 노(NO)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개성공단을 즉각 재개하고 금강산 관광도 빠르게 재개해야 한다”는 등의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문 후보 측은 “발언의 일부분만 알려져 왜곡되거나 부풀려졌다”고 반박하고 있지만 문 후보 스스로 안보관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마다 ‘색깔론’으로 치부하거나 명확하게 답변을 하지 않아 안보 불안 이미지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도 적잖다.

문 후보 측 지지자들의 일관되지 않은 대북관도 도마 위에 올랐다. 문 후보 지지를 선언한 김덕룡 김영삼민주센터 이사장은 이날 라디오에서 “북한이 우리의 안보위협이 되기 때문에 군사적 면에서 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국가적인 목표인 통일을 생각하면 북한도 또 하나의 우리 민족이지 않나”라며 문 후보를 감쌌다.

하지만 김 이사장은 2004년 11월 한나라당 원내대표 당시 국회 운영위원회의에서 주적 개념 삭제 논란이 일자 “10년 전 국방백서에 주적 개념을 넣은 것은 북한 핵 사태 때문이었고 북핵 사태가 최고로 악화된 지금 주적 개념을 삭제하는 것은 터무니없다”며 “북한의 비위를 맞춰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냐”며 비판 발언을 했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