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문재인 대통령, 한·미·중·일·러 대북공조 끌어낸다

문재인 대통령, 한·미·중·일·러 대북공조 끌어낸다

기사승인 2017. 07. 05. 21:0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G20 다자 정상외교 첫 데뷔전...시진핑 중국 주석, 푸틴 러시아 대통령 첫 한중·한러 정상회담, '사드' 해법 모색 최대 과제...한·미·일 정상 만찬 '대북 압박 수위' 관심...통일 구상 '신베를린 선언' 주목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5일(현지시간) 독일 방문 첫 일정으로 독일 베를린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동포 오찬 간담회에 참석해 교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고 있다. / 연합뉴스
아시아투데 김동현 기자 = 한·미 첫 정상회담에서 대북정책에 대한 한국의 주도적 역할 지지를 확보한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다자 정상회의에서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공조를 이끌어 낸다.

오는 7~8일(독일시간) 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5일 오전 독일 베를린에 도착한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베를린 대통령궁에서 프랑크 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과 한·독 대통령 회담을 했다. 이어 독일 베를린 총리실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만찬회담을 통해 북핵·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대북 공조를 다졌다.

특히 지난달 29~30일 첫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명박·박근혜 전 정부의 강경한 대북 제재와 압박 기조에서 ‘제재와 대화 병행’으로 대북정책을 선회한 문 대통령이 이번 5~6일 독일 방문과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국제사회의 지지를 이끌어 내는 고도의 외교전을 벌인다.

무엇보다 6일 오전(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의 첫 한·중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어 대북 정책에 대한 중국의 동의와 지지를 이끌어 내기 위한 문 대통령의 첫 대중외교가 초미의 관심사다.

일단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고수하면서 사드 보복 조치를 하고 있는 중국의 시 주석를 어떻게 설득할 것인지가 최대 과제다. 7일 오후 예정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첫 한·러 정상회담도 사드 반발을 어떻게 풀어 나갈지가 큰 숙제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7일 오전 첫 한·일 정상회담도 대북 공조를 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북 공조를 과시한 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직후인 4일 북한 김정은 정권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도발과 함께 시험에 성공했다고 전격 발표한 것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조 방안을 이끌어 내야 하는 것도 문 대통령에게는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한다.

북한이 사실상 ICBM 도발을 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강경 기조가 힘을 얻고 있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강한 압박의 제재 보다는 대화에 방점을 찍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북한의 ICBM 도발 직후 처음으로 머리를 맞대는 6일 오후 한·미·일 정상 만찬에서 어떤 수위의 성명이나 발표를 낼 지가 주목된다.

무엇보다 6일 오후 쾨르버재단 초청 연설은 문 대통령의 통일 구상과 대북정책 기조를 국제사회에 공식적으로 소개하고 천명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는 ‘신(新) 베를린 선언’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5일 “북한 ICBM 발사 때문에 연설문 내용이 실제 발표 시점까지 계속 수정되고 있다”면서도 “연설문이 크게 수정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저런 식의 도발을 계속하고 있으니 지금 당장이야 북한과 대화는 어렵다고 보지만 언젠가는 대화에 나서야 하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북한의 ICBM 도발에도 문 대통령의 ‘압박과 대화의 병행’이라는 ‘문재인 독트린’의 큰 줄기를 아직까지 수정할 단계에 이르지는 않았다는 판단이다. 이번 독일 방문 과정에서 자신의 대북 정책 기조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협조를 이끌어내겠다는 구상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