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모기 잡는 모기’ 사육기술 개발 성공

‘모기 잡는 모기’ 사육기술 개발 성공

기사승인 2017. 08. 09. 12: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숲모기 유충 잡아먹는 토착종 '광릉왕모기'
지카바이러스·뎅기열 예방에 활용 기대
수정됨_광릉왕모기 (번데기에서 탈피한 직후)
번데기에서 탈피한 직후 광릉왕모기 성체 모습. /사진=한국환경산업기술원
모기 유충을 잡아먹는 ‘모기의 천적’ 광릉왕모기의 사육기술 개발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성공했다.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9일 고려대 배연재 교수팀과 함께 흡혈 모기류의 유충을 잡아먹는 국내 토착종 광릉왕모기를 활용한 모기방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광릉왕모기는 지카 바이러스나 뎅기열을 옮기는 숲모기와 서식 환경이 유사하기 때문에 지카·뎅기열 예방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광릉왕모기와 같은 왕모기족은 유충일 때는 다른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지만 성충이 되면 암수 모두 흡혈하지 않고 꽃의 꿀을 섭취하기 때문에 모기의 천적이자 꽃가루를 매개해 주는 이로운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유일한 왕모기인 광릉왕모기에 대한 연구는 분포 지역 등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이뤄졌으며, 이를 번식시켜 모기방제에 활용하는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암막 사육장을 도입해 그간 인공적인 사육 환경에서는 어려웠던 광릉왕모기의 짝짓기와 산란을 유도하고 실내 번식을 가능하게 했다.

환경산업기술원 측에 따르면 암막 사육장을 활용했을 때 50일의 사육 기간 동안 광릉왕모기 암컷 한 마리에서 약 600마리 이상의 광릉왕모기 개체를 얻을 수 있다. 광릉왕모기 유충 한 마리가 하루에 약 26마리 다른 모기 유충을 잡아 먹을 수 있어 유충기간인 약 16일 동안 416마리의 모기 유충을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광릉왕모기는 흰줄숲모기와 같은 숲모기류의 서식처인 산간지대의 나무구멍, 대나무 그루터기, 길가의 폐타이어 등의 작은 물웅덩이에 서식하며, 다른 모기 유충을 잡아먹기 때문에 숲모기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고 지카나 뎅기열 확산 예방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산업기술원 측은 아직까지 국내에서 모기를 매개로 지카나 뎅기에 감염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최근 해외여행이 증가하고 평균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광릉왕모기를 활용한 친환경 모기방제 기술은 향후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환경산업기술원은 지난 2015년 5월에 친환경 모기방제 기술로 먼저 개발된 딱정벌레목 곤충인 잔물땡땡이의 활용 기술과 이번 광릉왕모기 기술을 함께 적용해 지자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다.

남광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생물학적 모기방제 기술과 같이 국민의 안전한 삶을 확보할 수 있는 공익형 환경기술이 개발되고 보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