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트럼프 11월 취임 후 첫 방한…미·중 정상회담에 촉각

트럼프 11월 취임 후 첫 방한…미·중 정상회담에 촉각

기사승인 2017. 09. 13. 18:1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트럼프, 11월 중국 방문
트럼프, 11월 중국 방문(워싱턴DC AP=연합뉴스) 미국 정부의 대북 전략을 공개한 뒤 백악관에서 퇴출당한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가 12일(현지시간) 홍콩의 글로벌 금융기관 CLSA 주최 투자자포럼 연설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중국을 방문한다고 밝힌 것으로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가 전했다. 블룸버그도 이날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중국을 방문하기로 했다”고 이 사안에 밝은 한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사진은 이날 트럼프가 백악관을 방문한 나집 라작 말레이시아 총리와 회동 중 얘기하는 모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아시아순방 일환으로 한·중·일 세 나라 방문을 유력 검토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을 방문하게 되면 북핵에 맞선 한·미·일 3국 공조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특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 후 그 어느 때보다 ‘중국 역할론’이 커진 상황에서 이뤄지는 11월 미·중 정상회담은 북핵 문제의 물길을 돌려놓는 역사적 담판 회담이 될 수 있을 지 국제사회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13일 오는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을 백악관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월 10·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필리핀에서 개최되는 미국·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아시아 순방길에 오른다. 이 기간 한·중·일 방문도 함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아사히신문을 비롯한 주요 일본 매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11월 4~6일간, 2박 3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이 확정되면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처음으로 한국을 찾게 된다. 문재인 대통령도 취임 후 처음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한국으로 초청해 한·미 정상회담을 한다. 무엇보다 엄중한 한반도 안보 상황이 지속되는 와중에 이뤄지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이라는 점에서 방한 자체가 ‘대북 억지력’을 과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군 무기 구매 압박과 방위비 분담금 인상,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일방 폐기 언급 등 트럼프 대통령의 ‘돌발 언사’가 한·미 정상회담에서 반복될 수 있다는 점은 청와대로서는 적지 않은 부담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문 대통령의 방미 정상회담 직후 백악관 공동회견에서 한·미 FTA에 대한 미국 측의 불만을 일방적으로 쏟아내는 ‘외교 결례’로 미국 정가에서 조차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었다. 최근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따른 한·미 정상 통화 직후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정부의 무기 구매 문제를 언급해 우리 정부를 적잖게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우리 정부로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간 역사적 미·중 정상회담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때 ‘트럼프의 오른팔’로 통했던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는 13일(현지 시간) 홍콩 일간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 인터뷰에서 11월 미·중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는 ‘북핵 문제’라고 밝혔다. 특히 배넌은 “내 생각으로는 미국이 가장 먼저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은 북한을 두고 중국과 일대일로 교섭하는 것”이라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미·중 담판을 주장했다.

또 문 대통령은 다음 주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하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한·미·일 세 나라 정상회담도 따로 여는 방안을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 한·미·일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지난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에 한·미·일 만찬회담을 가진 후 두 번째 열리는 세 나라 정상회담이다. 최근 새 대북 제재 안보리 결의안 채택을 위해 한·미·일 세 나라가 국제사회에서 전례없는 공동전선을 펴는 등 어느 때보다 긴밀한 안보 협력체계를 이어가고 있어 이번 대북 메시지 수위가 주목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