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일본, 인도와 IT 분야서 협력 강화 꾀한다…‘트럼프 반이민정책 반사이익?’

일본, 인도와 IT 분야서 협력 강화 꾀한다…‘트럼프 반이민정책 반사이익?’

기사승인 2017. 10. 10. 18:2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일본이 정보통신(IT) 분야에서 인도와의 긴밀한 연계를 꾀하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월 ‘반(反) 이민·난민’를 중심으로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강해지고 있다. 미국의 IT업계에서 중추를 담당하던 인도인들은, 엄격해진 이민 정책에 따라 점차 미국 취업비자(H-1B·학사 이상의 전문지식 보유자 대상) 취득이 어려워지자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9일 닛케이아시안리뷰에 따르면 미국은 그간 IT분야에서 인도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어왔다. 2014년도 미 국토보안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미국 H-1B 비자 보유자의 약 70%가량이 인도인들로, 이들 상당수는 IT업계에 종사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CEO)들도 모두 인도 출신이다.

이에 비해 일본은 과학분야에서 인도와의 접점이 별로 없었다. 하지만 미국의 이민 정책이 엄격해진 틈을 타 일본은 인도와 IT기술 협력을 꾀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노리고 있다. 인도 IT서비스 대기업 ‘인포식스’의 일본지부 대표 오오니시 슌스케는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 이후, 우리에게 있어 비영어권 국가로의 진출 및 확장이 전보다 더 중요해졌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IT 인재 부족으로 시달리는 일본 업계는 반사이익을 얻게될 가능성도 커진다.

일본은 이미 IT분야에서 인도와 협력하고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 손을 뻗고 있다. 지난 3일 일본 치바현에서 사흘동안 전자제품·IT 분야 무역전시회인 ‘시아텍(CEATEC) 전시회’가 개최됐다. 일본 전자정보기술산업협회(JEITA)가 개최하는 이 전시회는 올해 최초로 인도 기업 전용 쇼케이스가 열렸다. 이 쇼케이스에 참여한 인도 기업들은 총 25곳으로, 대기업에서 스타트업까지 그 회사 유형이 다양했다.

infosys plantio
인도 기업 ‘인포시스’가 사물인터넷(IoT) 등 IT기술을 집약해 만든 농업 모니터링 시스템 ‘Plant IO Hololens Demo’ 의 소개 영상 캡쳐 (사진출처/= https://www.infosys.design/plantio)
특히 이 가운데 상위 10대 기업들로는 인도 IT 선두기업 테크 마힌드라와 인포시스 등이 꼽힌다. 인포시스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새크라멘토시(市)의 채소밭에서 드론,카메라,센서 등을 이용한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IoT 를 비롯한 각종 IT기술을 집약해 제작된 이 시스템은 작물의 온도·습도·성장 과정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식물병같은 돌발사태도 예의주시하며 수집한 데이터를 ‘머신 러닝’기술로 분석해 수확량을 예상해준다. 인포시스 일본지부 대표 오오니시는 일본 종자회사인 ‘사카타’의 미국 자회사에 공급하고 있는 이 시스템을 판매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오오니시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농업 부문에서도 IoT 사용이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시회 주최자들은 이번 행사가 IoT 분야에서 일본과 인도 양국이 기술·인적 자원 부문의 협력을 촉진해 큰 혁신을 불러오기를 기대했다. 이 전시회에 인도 기업들을 초빙하기 위해 IoT 민관연합 단체 ‘IoT 추진 컨소시엄(IoT Accleration Consortium)’ 대표자들은 ‘인도의 실리콘밸리’라 불리는 방갈로르를 방문했고 인도소프트웨어개발자협회(NASSCOM)와 협력해 현지 기업을 찾았다.

현재 일본은 IT 인력이 부족하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2020년까지 일본은 사물인터넷이나 AI분야에 걸친 IT 업계 인력이 5만명 정도 부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반면 인도는 매년 IT 전공자들이 100만명씩 배출되고 있어 일본 IT 업계의 눈에 매력적으로 비춰진다. 이 때문에 IoT 추진 컨소시엄과 JEITA는 NASSCOM와 협력해 시아텍으로 인도 기업들을 초청한 것이다. 이는 일본과 인도 양국의 기술·인적 자원 교류 촉진을 위한 첫 걸음으로 풀이된다.

농업기술에 관심을 보이던 일본의 한 무역회사 직원은 “우리는 인도에서 농업 비즈니스 기회를 찾고 있다. 이 전시회에 오면 인도 회사들과 연락을 할 수 있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한 전자부품 제조회사의 직원도 인도 기업들의 쇼케이스를 보며 반색했다. 그는 “전시회에 에 더 많은 인도 기업들이 오면 비즈니스 기회도 확장될 것”이라며 기대했다.

하지만 언어 장벽이 잠재적인 장애물로 남아있다. 일본 기업에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이 적어 인도의 인력들을 최대한 활용하기 힘들다. 소니는 최근 인도공과대학교 졸업생들을 채용해왔지만, 이들은 오랫동안 회사에 다니진 못했다. 외국에서 일하려는 인도의 젊은 이들은 오랫동안 같은 회사에서 일하며 경력을 쌓기보다는 주로 자신만의 회사를 세우려고 하기 때문이다. 평생 한 직장에서 일하는 일본의 기업문화가 이들에게 시시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것.

다만 한 가지 낙관적인 요소가 있다면 바로 일본 정부가 전문 기술·지식을 지닌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영주권을 발급해주는 조건을 완화했다는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일본에 1년 이상 체류했다면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며, 이 조건의 기간은 전 세계에서 가장 짧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