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눈] 평창올림픽과 한반도 평화 정착

[기자의눈] 평창올림픽과 한반도 평화 정착

기사승인 2017. 12. 21. 19:2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아시아투데이_주성식
문재인 대통령이 평창 겨울올림픽을 50여 일 앞두고 한·미 연합 군사훈련 시기 조정 카드를 꺼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9일 경강선 고속철도(KTX) 열차 안에서 평창올림픽 주관 방송사인 미국 엔비시(NBC)와 인터뷰를 갖고 “한·미 두 나라는 (평창)올림픽 기간에 연합군사훈련을 연기하는 문제를 검토할 수 있다”며 “미국 측에 그런 제안을 했고, 지금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훈련 연기 여부는 오로지 북한에 달려 있다고 밝혀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한 위한 목적임을 시사했다.

보수 야당의 반대 등 비판적 여론이 예상되는 상황임에도 미국과의 합의와 북한 ‘협조’(도발 중단)를 전제로 평창올림픽을 남·북 간 또는 북·미 간 대화 재개를 통한 한반도 평화 정착의 계기로 삼기 위한 승부수를 던진 셈이다. 아니나 다를까 이 같은 인터뷰 내용이 전해지자 자유한국당 등 보수야당과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대한민국 안보를 포기하는 것이냐”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문 대통령의 한·미 군사훈련 연기 발언은 그 자체보다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독려를 통한 상호 간 대화분위기 조성에 더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헬로우 평창’ 행사 관련 체육부장단 간담회에서도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를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겠다”며 이 같은 속내를 내비쳤다.

북한은 2002년(부산)과 2014년(인천) 한국에서 열린 두 차례의 아시안게임에 선수단과 응원단을 보내 참가한 전력이 있다. 특히 2004년 아테네 여름올림픽과 2006년 토리노 겨울올림픽 개막식에서는 남북 선수단이 공동 입장하는 감격적인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비록 당시는 남북이 2000년 6·15 공동성명 이후 화해무드로 접어들었던 시기였던 만큼 핵·미사일 도발이 이어지고 있는 지금과는 상황이 크게 다르지만, 스포츠를 매개로 한 대화재개 노력마저 ‘안보포기’란 딱지를 붙여 폄하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가능성이 그리 높지는 않지만 만약 평창올림픽에 북한의 참가가 이뤄진다면 이전 두 정부 시절 중단됐던 남북관계 개선을 넘어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돌파구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문 대통령 인터뷰와 관련해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분단이라는 특수상황과 전세계적으로 조성된 북핵 위기 문제를 완화하고 해결의 단초를 찾는 게 우리가 풀어야 할 과제”라고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되는 부분이다. 노력조차 하지 않고 결과를 얻을 수는 없지 않은가.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