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단전·단수 등 복지사각지대 취약계층 7만7000명 찾아내 지원

단전·단수 등 복지사각지대 취약계층 7만7000명 찾아내 지원

기사승인 2018. 01. 16. 12: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보건복지부
정부가 단전·단수 정보 등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 취약계층 7만7000명을 발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복지부)는 2017년 복지 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을 이용해 이들에게 기초생활보장·긴급지원·돌봄·민간후원연계 등 공공 및 민간서비스를 지원했다고 16일 밝혔다. 지원대상 수는 전년 대비 1만1000명(18%) 증가했고, 빅데이터 예측 대상자 중 실제 서비스를 지원받은 비율도 전년 20.1%에서 25.6%로 개선됐다.

정부는 ‘송파 세모녀 사건’ 등을 계기로 단전·단수, 기초수급 탈락·중지, 의료비 과다지출 등 빅데이터 정보를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 대상자를 예측한 뒤 선제적으로 찾아내 지원하는 시스템을 2015년 12월부터 시작했다.

그 결과 기초생활보장급여 지원 6712명, 차상위 지원 8537명, 긴급복지 지원 1109명, 기타 공공 복지서비스 3만1412명 등 모두 4만7770명에게 공공 복지서비스를 지원했다. 공공 복지서비스 자격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2만8868명은 민간기관이 제공하는 복지서비스를 연계해 지원했다.

지난해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중심의 지역밀착형 서비스 제공과 연계정보 확대 및 예측 빅데이터 모형의 개선으로 지원 대상자 수와 지원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복지부는 발굴관리시스템을 통해 2개월 간격으로 6차례에 걸쳐 약 35만명 이상의 복지 사각지대 예측 대상자를 찾고, 읍·면·동 통합 사례관리 상담·조사를 통해 공공·민간 제반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청년실업, 고령화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새로 발생하는 위기·취약 가구를 빠르게 찾아내 복지·건강관리·고용 등 서비스를 연계·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빅데이터 예측 모형을 계속 정교화해 현장 복지업무 담당자 업무를 지원하고 읍·면·동 주민센터, 고용복지+센터, 사회복지관 등 민간 복지기관과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