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중 매체 “한중일 경제무역 ‘신삼국지’ 실현 분위기 조성”

중 매체 “한중일 경제무역 ‘신삼국지’ 실현 분위기 조성”

기사승인 2018. 04. 19. 13:1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런민왕 "왕이 방일 계기 한중일 지역 일체화 시도 루트 개척"
중, 한일 무역액 중국 전체 13%...보호무역주의 저지해야
"중일, 아시아태평양 지역 주도권 잡고, 세계무대 발언권 높이자"
아베 왕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오른쪽)가 16일(현지시간) 도쿄(東京) 총리관저에서 방일 중인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왼쪽 두 번째)과 만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이 자리에서 “내일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법으로 북한의 핵·미사일을 폐기해야 한다고 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양국 공동의 이익이 되므로, 중국과도 더욱 연대해 나가고 싶다”고 덧붙였다./사진=도쿄 AP=연합뉴스
중국 관영 매체가 “동북아시아에서 중·일·한 경제무역판 ‘신삼국지’ 실현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 인터넷판 런민왕(人民網)은 19일 “한국이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해상 및 육상 실크로드)를 통해 ‘신북방정책’을 추진하고, 일·한 관계 개선에도 적극적”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이 매체는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의 일본 방문이 중·일 간 고위급 교류의 새장을 열었다”며 “중·일·한 정상회담이 5월 일본에서 개최되는 것을 계기로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및 아시아·태평양 협력 확대, 일대일로 틀 내에서의 지역 공동체 건설, 중·일·한 지역 일체화 시도라는 새로운 루트를 개척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일 및 중·일·한 협력과 연계는 지역 프로젝트 실행이라는 실무적인 변화로 나타나고 있다”며 “일본이 일대일로의 지역 협력 촉진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면서 인프라·그린경제·금융·제3자 협력 등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모색하고 있고, 일본 경제계도 중·일 및 중·일·한 프로젝트 연계 시행에 적극적”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매체는 “지난해 중·일 무역액은 전년 대비 9.9% 늘어난 2972억8000만 달러였고, 일본 방문 중국인 관광객이 700만명을 능가했으며 중국 내 일본 기업이 7만개사를 돌파했다”면서 “일본의 중국산 제품 수입액이 미국을 능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일·한의 무역액을 5372억5000만 달러로 중국 전체 무역액의 13%였다”고 덧불였다.

또한 조만간 열리는 제13차 중·일·한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서 최대 공약수를 모색, 자유무역을 통한 지역 및 세계무역의 개방 기조를 유지, 탈글로벌화를 저지하는 것이 3국의 필연적인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왕 국무위원도 지난 16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면담과 관련, “우리는 현재 도출된 무역 보호주의에 대해 충분히 토론했다”며 “일본은 무역으로 국가가 일어섰기 때문에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으며 중국의 현재 취하는 입장은 중국의 정당한 권익을 지키며 세계 자유무역 메커니즘을 수호하는 것이라고 일본 측에 설명했다”고 설명했다.

중일 외교장관
8년 만에 처음으로 일본을 단독 방문한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15일(현지시간) 도쿄(東京) 도내 이쿠라(飯倉) 공관에서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과 회담을 열고 양국 간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고노 외무상은 회담에서 “북한의 완전하고 불가역적이며 검증 가능한 비핵화라는 공통 목표를 향해 한층 더 연대를 강화해 가자”고 제안했다. 회담 후 왕 외교부장은 기자들에게 “대중 관계를 개선하겠다는 일본 측의 방침을 확인했다”고 말했다./사진=도쿄 신화=연합뉴스
런밍완은 “지정학적으로 북·중 정상회담이 실현됐고,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준비가 진행되는 등 동북아시아의 긴장이 완화되고 있다”며 “중·일은 동북아시아의 지정학적 대립을 평화적 분위기로 전환하는 효과적 해결책을 모색하고, 전략적으로 동북아시아 및 아시아 전체의 운명공동체 구축을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통해 양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주도권을 잡고 세계 무대에서의 발언권을 강화할 수 있다”며 “이는 양국뿐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국가 전체에 이익을 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