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취재뒷담화] ‘건강증진형 보험’이 제대로 성공하려면

[취재뒷담화] ‘건강증진형 보험’이 제대로 성공하려면

기사승인 2018. 06. 12.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최근 ‘건강증진형(헬스케어)’ 보험 홍보에 나선 금융당국을 향해 보험업계가 불안한 눈초리를 보내고 있습니다. 건강증진형 보험이 제대로 활성화되려면 보험사가 직접 환자의 병력 등 건강정보를 다뤄야하는데, 의료계에서 이를 반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아직까지 별다른 조치를 마련하지 않은 실정입니다.

건강증진형 보험은 보험 가입자가 건강해질수록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정책성 보험입니다. 달리기·병력 등 다양한 건강 빅데이터를 활용해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상품으로, 정부의 ‘문재인 케어’와 연계돼 정책적으로 도입됐습니다.

상품 활성화를 위해 금융당국은 지난 7일 삼성화재·KB손해보험·ING생명·AIA생명 등 5개사가 상품을 내놓은지 두달 만에 6만건의 판매고를 돌파했다며 공식자료를 배포했습니다. 보험업계에선 금융당국이 직접 나서 보험상품을 이처럼 홍보한 건 이례적이라는 반응입니다.

문제는 건강증진형 보험이 아직 걸음마 수준이란 점입니다. 국내 보험사들이 다루고 있는 상품은 달리기·걷기 등 운동량 데이터나 혈당체크 같은 매우 간단한 의료 데이터를 활용하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영국과 중국 등 해외에선 간단한 운동데이터는 물론, 보험소비자들의 개인 건강진단 데이터까지 폭넓게 활용해 보험상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이에 공감하면서도 의료계의 반발을 우려해 선뜻 나서지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국내 의료계는 그간 의료행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놓고 정부와 줄다리기를 해왔습니다. 의료계는 환자 병력을 토대로 건강진단을 내리는 부분을 보험업게에 넘기면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한 대한의료협회 관계자도 “보험사 등 타업계들의 의료정보 접근성 문제는 신중하게 접근해야한다”고 밝혔습니다.

양측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금융당국은 의료행위에 대한 논의를 잠정중단한 채 뒷짐만 지고 있습니다. 지난 2월 돌파구를 찾기 위해 출범한 ‘의료행위 범위 판단을 위한 민관합동 법령해석 태스크포스’도 지지부진한 상황이죠.

보험업계와 소비자들은 건강증진형 보험에 대한 기대감이 큽니다. 보험사 입장에선 새로운 먹거리가 될 수 있고, 소비자들은 건강과 보험료 할인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섬세한 관심을 기울일 때입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