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화 ‘대북사업 TF‘ 구성…북한 시장 진출 모색

㈜한화 ‘대북사업 TF‘ 구성…북한 시장 진출 모색

기사승인 2018. 06. 19. 11:2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주)한화 CI
㈜한화는 최근 고조되고 있는 ‘남북경협’ 기대감 속에 ‘대북사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본격적인 북한 시장 진출 전략 모색에 나선다.

㈜한화는 산업용 화약 원료공급 및 제조사업부터 글로벌 마이닝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어 남북경협이 본격화될 경우 펼쳐질 북한 교통 SOC 및 자원개발 사업 등에 주목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북한의 경제 재건을 위해서는 산업 발전을 지원할 수 있는 교통 SOC·산업단지·주택·전력·식량 등 인프라 체계 전반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특히, 북부 내륙 및 중부의 철도 인프라와 총 도로 길이 연장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사업이 본격화되면 북한 화약 시장은 과거 대한민국의 산업 인프라 구축 시기와 비슷한 연간 12~15%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국토연구원에서는 북한 인프라 투자 비용을 약 54조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국내 연간 SOC 투자 비용 약 19조원의 2배가 넘는 금액으로 대북 투자가 본격화되면 산업용 화약 산업만 약 10년간 수 조원 이상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북한은 연산 약 10만톤의 산업용 화약 제조 시설을 보유하고 있지만 실제 연간 사용량은 약 3만톤 내외 수준으로 추정되고 시설도 노후화돼 고품질 산업용 화약 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화는 북한 시장에 대한 분석 등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남북경협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실제로 ㈜한화는 여러 대북경협 사업에 참여한 경험도 있다. 1997년~2003년 함경남도 신포시 경수로 공사, 2003~2004년 경의·동해선 철도 공사, 2003년~2009년 개성공단 개발 사업 등에 참여했다. ㈜한화는 1952년 국내 최초로 다이너마이트 국산화를 이룬 이후, 60여년 이상 쌓아온 경험과 기술력·첨단 생산설비 등을 바탕으로 화약 제품을 산업 현장에 공급해 오고 있다.

남북경협이 본격화되면 ㈜한화는 제품 운송이 용이한 지역에 주요 거점을 두고 ㈜한화 보은사업장에서 생산한 산업용 화약과 뇌관을 육상 및 해상 등의 경로를 활용해 운송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화약 수요가 많아질 경우 원재료 조달이 용이한 지역에 현지 생산거점도 구축해 안정적인 제품 공급을 진행해 나갈 전략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