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화투자증권, 계열임원 사외이사 모시기...독립성 ‘훼손’ 우려

한화투자증권, 계열임원 사외이사 모시기...독립성 ‘훼손’ 우려

기사승인 2018. 06. 20.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Print
한화투자증권이 지난 10년간 한해도 빠짐없이 사외이사에 전직 한화 계열사 임원들을 선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상 선임제한 기간이 지났기 때문에 법적인 저촉은 없지만, 대주주 및 경영진을 견제하는 사외이사 제도의 순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화투자증권 사외이사에 전직 한화 계열사 임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2008년부터다.

2008년 한화투자증권 사외이사에 선임된 박종석 전 신동아화재보험 부회장은 한화그룹 부회장을 지낸 인물이다. 박 전 부회장은 2012년까지 총 5년 동안 한화투자증권의 사외이사 자리를 꿰찼다. 박 전 부회장이 사외이사에서 물러난 직후인 2013년에는 송규수 전 한화이글스 단장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송 전 단장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한화증권에 몸담았던 경험이 있지만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한화이글스 단장을 역임했다. 송 전 단장이 한화투자증권 사외이사로 보낸 기간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로 박 전 부회장과 같은 5년이다. 금융회사지배구조법에서 정하고 있는 최대 임기인 6년을 거의 채운 것이다.

한화투자증권은 올해 들어 이청남 한화S&C 전 대표이사를 새로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이 전 대표이사의 경우 한화그룹 정보·IT사업본부장과 그룹 내 시스템통합(SI) 계열사인 한화S&C에 몸담았던 인물로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금융권과는 무관한 경력의 소유자로 평가된다. 특히 한화S&C의 경우 최근 한화시스템과의 합병으로 논란을 종식시켰지만,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아들 3형제인 김동관·김동원·김동선 씨가 100% 지분을 보유하며 그룹 내 일감몰아주기 논란의 진원지였던 곳이다.

이 전 대표의 사외이사 선임건이 상정된 지난 3월, 민간 의결권자문기구인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CGCG)는 계열사 출신의 금융 비전문가 선임에 대한 반대 의견을 내기도 했다. 당시 CGCG는 “과거 해당 회사 및 특수관계가 있는 회사의 집행임원이었던 사람은 대주주나 경영진을 견제·감시할 능력이나 독립성에 중대한 의문이 제기되므로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개 표명했다.

다른 대기업 계열 증권사와 비교해봐도 한화투자증권의 전직 계열사 임원 선호도는 뚜렷하다. 같은 기간 국내 30대 그룹 계열 증권사 가운데 미래에셋대우·삼성증권·현대차투자증권·SK증권 등은 전직 계열사 임원을 사외이사에 선임한 적이 없다. NH투자증권과 교보증권은 전직 계열임원을 일정기간 선임하긴 했지만 한화투자증권 사례처럼 10년 연속 계열사 임원을 선임하진 않았다.

한화투자증권 관계자는 “그룹에서 능력 있던 분들로 경영 조언을 구하기 위해 계열사 임원들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던 것일 뿐 특별한 의미는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런 설명과는 달리 계열사 임원의 사외이사 선임이 제도 자체의 순기능을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은 여전하다. 사외이사는 기업 권력의 집중과 남용을 방지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성실히 수행하게 하기 위해 일정 조건을 갖춘, 즉 대주주의 영향력을 받지 않는 전문가들을 이사로 선임하는 제도다. 계열사 전직 임원들이 사외이사를 맡게 될 경우 감시와 견제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한화투자증권의 이사회 운영내용을 살펴보면 계열사 임원 출신의 사외이사들이 이사회 안건에 대해 반대표를 행사한 사례는 한 차례도 없다.

손성규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계열사 임원을 사외이사로 앉히게 되면 대주주 및 경영진 견제 기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다른 그룹사에 비해 전직 임원들의 사외이사 선임 사례가 많을 경우 기존 사외이사 도입 취지와는 거리가 있으며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지적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