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보험업계, 블록체인 활성화하려면‥“인프라 구축 시급”

보험업계, 블록체인 활성화하려면‥“인프라 구축 시급”

기사승인 2018. 06. 23.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국내 보험시장에서 블록체인 적용이 활성화되면 소비자들의 편의성이 제고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다만, 국내 블록체인 활용도가 아직 초보적인 단계인 만큼, 관련 기술 개발이 진행돼야 하며 해외사례를 적절히 참고해야한다는 지적이다.

22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글로벌 손해보험회사인 악사(AXA)는 지난해 9월 블록체인을 활용한 항공지연보험 플랫폼인 피지(Fizzy)를 개발했다. 이 플랫폼은 보험계약자가 탑승 예정인 항공이 2시간 이상 지연될 경우, 별도의 보험금 청구 절차 없이 보험회사는 사전에 합의된 보험금을 보험계약자에게 자동으로 지급하는 스마트보험계약이다.

국내에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례가 있다. 교보생명은 본인인증에 블록체인을 적용한 실손의료보험 보험금 청구 시스템을 지난해 12월부터 시범 운영중에 있다. 상계백병원, 삼육서울병원, 수원성빈센트병원 등 3개 병원과 교보생명 직원계약자 200명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향후 이 시스템은 올해 말까지 모든 계약자를 대상으로 20개 병원에서 가능하도록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국내 활용 사례는 해외와 달리 본인인증 용도에 머무르고 있다는 게 김규동 연구위원의 지적이다.

김 연구위원은 “교보생명의 보험금청구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의 활용은 본인인증 용도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이라며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는 삭제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해 블록체인에 개인정보를 기록할 수 없으며 의료정보는 더더욱 블록체인을 이용해 기록·전송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블록체인망에는 보험금 청구 여부만 기록되고 보험금 청구를 위해 전송된 의료정보의 진위여부는 블록체인으로 신뢰하지 못한다”며 “따라서 교보생명의 모델은 최근 서비스를 시작한 KB손해보험의 보험금 청구 앱인 ‘My 세브란스’와 서비스 이용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연구위원은 블록체인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규제 정비, 소비자보호를 위한 기술 개발, 보험산업 이외 영역에서의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와 관련 그는 “비급여 항목이 표준화되자 않아 보험사들은 보험계약자가 청구한 보험금 청구 서류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확인하고 보험금 지급심사를 하고 있다”며 “보험금 지급청구 간소화 시스템이 보험금 지급심사 자동화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의 비급여 항목 표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