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국립중앙과학관, 제주 추자도서 ‘제23차 공동학술조사를’ 실시

국립중앙과학관, 제주 추자도서 ‘제23차 공동학술조사를’ 실시

기사승인 2018. 07. 08. 12:1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제주추자도 생물상, 한국미기록 등 다수 희귀생물 서식 밝혀
과학관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이 추자도에서 공동학술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모습/사진제공=국립중앙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과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한국사무국(KBIF)은 지난 5월 28일부터 6월 1일까 제주도 추자도 일원에서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23차 공동학술조사를 실시했다고 8일 발표했다.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은 생물다양성의 실물과 정보의 지속적인 발굴·확보, 체계적 보존·관리 체계 구축 및 활용을 위해 우리나라의 국·공·사립 생물다양성 유관기관이 2007년 16개 기관으로 출범해 6월 현재 총 55개 기관으로 확대·운영되고 있다. 사무국은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운영한다.

추자도 공동학술조사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수목원, 문화재청,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국·공립 및 사립기관 소속 80여명의 생물다양성 전문가들이 참여해 상추자도, 하추자도, 횡간도, 추포도 일대 조사팀으로 나눠 실시했다. 이번 조사에 이어 9월에 2차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추자도는 제주해역을 거쳐 오는 쿠로시오 난류의 한 지류인 쓰시마 난류의 영향을 받아 겨울에도 해수의 온도가 많이 낮지 않고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은 지역일 뿐만 아니라 한반도와 제주도의 중간지점으로 생물의 진화과정을 밝히는 중요한 지역이지만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2003년 이후 종합적인 생물상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번 조사의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공동학술조사 결과에 따르면 추자도에는 조류 54종, 식물 242종, 곤충 120종, 어류 25종, 버섯 35종, 거미 17종 등 490여종의 희귀 동·식물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류는 매(멸종위기 Ⅰ급, 천연기념물 제323-7호), 붉은새매(멸종위기 Ⅱ급, 천연기념물 323-2호), 흑비둘기(멸종위기 Ⅱ급, 천연기념물 제215호), 팔색조(멸종위기 Ⅱ급, 천연기념물 제204호), 두견이(멸종위기 Ⅱ급, 천연기념물 제447호), 벌매, 조롱이, 섬개개비(이상 멸종위기 Ⅱ급) 등 총 9목 24과 54종이 관찰됐다.

식물은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7종[두루미천남성(LC), 섬오갈피(EN, 식재), 덩굴민백미꽃(EN), 연화바위솔(VU), 눈향나무(EN, 식재), 측백나무(LC, 식재), 낚시돌풀(LC)]과 기타 특이식물 4종(갯돌나무, 홍지네 고사리, 제주산딸기, 해변노박덩굴)을 포함한 총 78과 242종이 확인됐다.

또, 버섯은 부생성 버섯 27종과 공생성 버섯 7종, 기생성 버섯 1종을 포함한 총 19과 23속 35종이 조사됐다.

곤충은 국립수목원과 국립중앙과학관의 조사팀이 다수의 주머니나방유충을 발견해 DNA 바코드를 분석한 결과 한국미기록종으로 확인돼 향후 분류학적 고찰을 통해 관련 학술지에 보고할 예정이다.

또, 거미는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산왕거미, 꼬마호랑거미 및 후보종인 말꼬마거미를 포함해 총 8과 12속 17종이 관찰됐다.

배태민(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회장) 국립중앙과학관 관장은 “이번 공동학술조사를 시작으로 한반도 및 제주도 자생종과의 분류, 계통 및 생물지리학적 연구의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주기적인 조사·관찰을 통해 생물상 변화추이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DB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