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격화되는 美中 무역전쟁… 북으로 남으로 시선 돌리는 수출전략

격화되는 美中 무역전쟁… 북으로 남으로 시선 돌리는 수출전략

기사승인 2018. 07. 10.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부·산업계, 수출시장 다변화 잰걸음
러시아, 韓-유럽 잇는 철도물류 핵심
인도·베트남, 급성장 중인 최대 신흥시장
문재인 대통령, 인도·싱가포르 순방
아시아투데이 송의주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인도·싱가포르 순방을 위해 8일 서울공항에서 전용기에 오르며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송의주 기자songuijoo@
우리 수출비중의 37%를 차지하는 미국·중국간 무역전쟁이 격화되자, 정부는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러시아를 필두로 한 북방, 인도·베트남을 중심으로 한 남방으로 시장을 넓히는 데 모든 역량을 쏟아붓고 있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G2에 대한 무역 의존도를 줄이고 새로운 성장발판을 마련하자는 취지의 문재인정부표 생존전략이다.

9일 외교부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 순방에 맞춰 우리 대표 기업들은 지난 4개월새 베트남과 아랍에미리트(UAE), 미국과 러시아를 줄줄이 방문했고 인도·싱가포르 경제사절단으로 나선 상태다. 문 정부 새로운 통상 키워드인 신남방·신북방정책에 최적화된 행보다.

특히 삼성·현대차·SK·LG 등 국내 굴지 기업들이 현재 경제사절단으로 방문 중인 인도는 정부의 신남방정책 핵심거점이다. 인도 휴대폰 가입자수는 지난해 초 기준 9억3300만명으로 2007년 대비 4.2배 늘었다. 이중 스마트폰 사용자수는 4억명 수준이다. 향후 잠새 성장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세계 4위 자동차시장인 동시에 향후 10년간 매년 국내총생산(GDP) 규모의 10%를 인프라에 투자할 계획으로, 제12차 경제개발계획상 1조 달러를 쏟아붓기로 돼 있다.

이와 관련 순방에 동행한 김현종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8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중간 무역 갈등을 고려할 때 인도와의 관계를 4강 수준으로 올리는 등 우리 수출전략을 다변화해 추진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해졌다”며 G2 의존도를 줄이는 계획에 대해 밝혔다.

정부가 신남방·북방정책으로 통상 노선을 선회한 건 트럼프발 초강력 무역제재와 중국의 막무가내식 사드 몽니를 겪은 지난해 하반기 부터였다. 트럼프 집권 이후 자국 안보가 위협 받는다는 이유로 발동한 미국의 무역확장법232조와 세이프가드·반덤핑관세, 중국의 사드 반발로 촉발된 유무형의 한한령은 수출 중심 우리 기업에 막대한 경영 리스크로 작용했다. 이제 양국간 갈등에 따른 유탄에 반도체 등 중간재 수출까지 타격이 예상되면서 대내외 경제전문가들은 제어할 수 없는 대외 불확실성을 상쇄하기 위한 방안으로, 앞다퉈 시장 다변화를 주장하고 있다.

특히 통상당국이 한미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상과 철강 무역확장법 관련 협상을 힘겹게 수행한 지난 3월 이후부턴 대통령이 직접 주요 국가들을 줄줄이 방문하며 경제협력을 위한 다리를 놓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3월 방문한 베트남은 인도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신남방정책 거점으로,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무역규모 4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삼성의 휴대폰 공장 설치 이후 한국의 교역 4위 국가로 성장했고, 현재 베트남 수입물량의 약 22%(467억3000만달러)가 한국으로부터 이뤄지고 있다. 현지에서 강하게 불고 있는 한류 돌풍 역시 신남방정책에 긍정적으로 작용 하고 있다.

러시아는 가깝게는 유라시아를 넘어 유럽까지 이어질 수 있는 철도 물류정책의 열쇠인 동시에 북한까지 연계한 러시아 가스관 사업은 우리 에너지원 활용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멀게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기도 하다. 문 정부가 풀고 싶어하는 최대 숙제가 러시아에 달린 셈이다.

이와 관련 김윤경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연구실장은 “중국을 향한 우리 수출비중은 홍콩을 포함해 30%가 넘어간다”며 “양국 갈등에 따른 반도체 등 중간재 납품의 수출타격을 줄이기 위해 미개척 신시장 진출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박사는 “정부가 길을 깔아놓고 기업들이 들어가는 방식으로 선단형 진출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기존 주력국가에 대한 관리를 소홀해선 안되며, 우리가 보고 있는 유망시장은 다른 국가들도 똑같이 노리고 있기 때문에 결국 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수밖엔 없다”고 조언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