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모펀드 전성시대…부동산 등 ‘뭉칫돈’ 몰리며 인기몰이

사모펀드 전성시대…부동산 등 ‘뭉칫돈’ 몰리며 인기몰이

기사승인 2018. 07. 16.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basic
소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주식·채권 등에 투자하는 사모펀드의 성장세가 뜨겁다. 2016년 9월 처음으로 공모펀드의 설정액 규모를 추월한 사모펀드는 이후 그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다. 사모펀드는 운용에 대한 규제가 공모펀드에 비해 자유로운 편이어서 시장 환경에 따라 기민하게 펀드를 설정해 운용할 수 있다것도 장점으로 부각된다. 사모펀드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전문사모운용사가 증가하는 등 차별화된 운용전략과 높은 수익률은 당분간 사모펀드의 인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업계는 올 하반기에도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이를 돌파할 다양한 운용전략을 갖춘 사모펀드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다만 사모펀드의 경우 펀드 운용 관련 정보가 상대적으로 제한돼 있어 전문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1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말 기준 사모펀드 설정액은 308조6653억원으로 공모펀드(232조3378억원)보다 76조원 이상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사모펀드 설정액 규모는 지난 2016년 9월 처음으로 공모펀드를 앞섰다. 이후 사모펀드 규모는 지속적으로 커진 반면 공모펀드는 2016년, 2017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사모펀드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실제로 2016년 30조411억원이던 격차는 2017년 74조7538억원, 올 상반기 76조3275억원까지 벌어진 상황이다.

사모펀드의 경우 주로 기관이나 고액 자산가 중심의 투자가 주를 이룬다. 따라서 이들이 선호하는 부동산형, 특별자산형, 혼합자산형의 설정액 증가가 두드러졌다. 부동산형은 2015년말 기준 33조9786억원에서 올 상반기 64조6404억원으로 늘어 해당 기간 동안 30조원에 달하는 뭉칫돈이 몰렸다. 같은 기간 특별자산형도 36조6803억원에서 61조2494억원까지 설정액 규모가 증가했다.

특히 2015년부터 통계정보가 제공돼온 혼합자산형의 경우는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 확대와 전문사모운용사 증가 등으로 매년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2015년 2조2198억원 불과했던 혼합자산형은 올 상반기 19조6760억원 규모로 폭증했다.

사모펀드가 펀드 투자의 대세로 떠오른 건 공모펀드와 달리 운용이 자유롭기 때문이다. 공모펀드는 펀드 규모의 10% 이상을 한 주식에 투자할 수 없고, 주식 외 채권 등 유가증권에도 한 종목에 10% 이상 투자할 수 없는 등의 제한이 있다. 하지만 사모펀드는 이익이 발생할 만한 어떠한 투자 대상에도 투자할 수 있다. 최근 국내외 금융환경 변화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통한 수익 추구 요구가 많아진 것도 규제가 상대적으로 적은 사모펀드가 유리한 배경이다.

정부와 당국의 투자 활성화 정책도 사모펀드 시장이 커지는 이유다. 2015년 10월부터 시행된 ‘사모펀드 활성화 정책’은 인가 요건 완화를 통해 실력 있는 전문사모운용사가 다수 등장하게 된 배경이다. 사모운용사의 증가는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이 재도약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하반기에도 사모펀드 시장이 더욱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인상, 글로벌 무역분쟁, 신흥국 경제 펀더멘탈 우려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면서 “이런 때 일수록 다양한 운용전략과 기민한 움직임이 가능한 사모펀드가 강점을 발휘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 연구원은 “사모펀드 운용사들은 대부분 각각의 차별화된 운용전략을 개발해 수익을 추구하는 만큼 투자자 입장에서는 투자목적에 따라 다양한 선택지를 고를 수 있다”면서도 “사모펀드의 경우 펀드 운용관련 정보가 공모 펀드에 비해 제한적이기 때문에 과거보다 전문가의 도움이 더욱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