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동남아 6개국 외채 위험 수준…라오스·말레이, 일대일로 빚 덩어리

동남아 6개국 외채 위험 수준…라오스·말레이, 일대일로 빚 덩어리

기사승인 2018. 07. 16. 16:0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gg
지난 5월 30일 분냥 보라칫 라오스 인민혁명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겸 국가주석(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출처=중국국제텔레비전(CGTN) 공식 유튜브 계정
라오스를 필두로 동남아시아 6개국 외채 규모가 개발도상국 평균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아가 외채 위기로 치닫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6일 일본 닛케이아시안리뷰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산하 FT컨피덴셜리서치(FTCR)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해 “라오스·말레이시아·캄보디아·베트남·인도네시아·태국 순으로 외채 위험 수준이 높다”며 개발도상국 국민총소득(GNI) 대비 평균 총외채 비율은 26%인데 라오스는 93.1%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외채 위험국 1·2위인 라오스와 말레이시아는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육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와 연계해 진행 중인 인프라 사업 때문에 빚이 수십억달러 쌓였다.

라오스는 수도 비엔티안과 중국 남부 윈난(雲南)성 쿤밍(昆明)을 잇는 고속철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대일로 사업 일환이다. 사업비용은 약 58억달러(약 6조5400억원)다. 이 사업으로 라오스는 국내총생산(GDP)의 약 40%와 맞먹는 자원을 소비할 전망이다.

라오스 나랏빚 3분의 2가 외화표시 부채다. 킵(kip·라오스 통화) 가치가 갑자기 떨어지면 달러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해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에 빠질 수 있는 상황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해 보고서에서 “라오스 외채 가운데 65%는 최대 채권국 중국에서 나왔다”면서 “라오스가 부채 위기에 처할 위험이 높다”고 지적했다. 

말레이시아도 국가부채가 1조링깃(약 271조원)을 넘어서면서 중국발 거대 사업들을 전면 재검토하고 있다. 마하티르 모하마드 말레이시아 총리는 전 정권에서 중국 투자로 시작된 동부해안철도(ECRL) 사업을 이달초 중단시켰다. 

당시 림관엥 말레이시아 재무장관은 “토지수용 비용 등을 포함하면 ECRL 총사업비가 809억2000만링깃(약 22조원)까지 치솟는다”면서 “시공사인 중국 교통건설(中國 交通建股·CCCC)이 공사단가를 크게 낮춰야만 재정적·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캄보디아 외채는 최근 5년간 142% 늘면서 동남아에서 가장 빠른 증가율을 보였다. 급속한 외채 증가에도 불구하고 FTCR은 캄보디아의 외채 위기가 라오스·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보다 낮다고 분석했다. 이들 3개국 단기외채 비중이 외환보유고보다 높고, 총외채도 수출량보다 높기 때문이다. 

라오스와 인도네시아 수출량 대비 외채 비율은 2016년 각각 327.9%, 184.2%였다. 이는 평균 107%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말레이시아 수출량 대비 외채 비율은 94.5%다. 

특히 내년 대선을 앞둔 인도네시아에서는 대중(對中) 부채 증가가 정치의 최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지난 5월 말레이시아 총선처럼 반중 성향 정당이 지지를 얻는 경향이 있다. 

인도네시아 은행에 따르면 인도네시아가 중국에 진 빚은 2014년 10월 조코 위도도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인도네시아 전체 차관 가운데 중국 비중도 2014년말 4.5%에서 현재 9.2%로 두 배 늘었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빚보다 더 큰 위험은 통화변동성이다. FTCR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인도네시아 통화 표시 채권 중 약 40%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루피아화는 자본 유출에 매우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