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문재인 대통령 “일본군 위안부, 한일 넘어 인류 보편적 여성인권 문제”

문재인 대통령 “일본군 위안부, 한일 넘어 인류 보편적 여성인권 문제”

기사승인 2018. 08. 14. 18:3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날 기념식 참석…정부 차원 명예회복 지원 약속
일본 겨냥 "외교로 해결될 문제 아냐…분쟁으로 이어지지 않길 바라"
문 대통령, 일본군 위안부 피해 이용수 할머니와 함께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충남 천안 국립 망향의동산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 이용수 할머니와 장미묘역으로 향하고 있다. 국립 망향의 동산은 해외동포들을 위한 국립묘원으로, 위안부 피해자들의 유해도 안치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한일 양국 간의 역사문제에 그치지 않는 전시 여성 성폭력의 문제, 인류 보편적 여성 인권의 문제”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충남 천안에 위치한 국립 망향의동산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유엔의 모든 인권기구와 세계 여러 나라에서 거의 매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결의가 채택되고 권고도 이뤄지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날 문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고, 오늘이 그 첫 번째 기념식”이라며 “27년 전 오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학순 할머니가 생존자 중 처음으로 피해사실을 공개 증언한 후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할머니들의 당당하고 용기 있는 행동이 이어져 이 뜻깊은 자리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할머니들께서 잃어버린 세월은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세월”이라며 “대한민국은 할머니들께 많은 것을 빚졌고 많은 것을 배웠다”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광복 후에도 오랜 세월 은폐·부정됐고 할머니들은 가족들에게도 피해사실을 말하지 못한 채 고통을 안으로 삼키며 살아야했다”며 “국가조차 그들을 외면하고 따뜻하게 품어주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이처럼 감춰졌던 아픈 역사를 복원해 낸 것은 바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자신이었다고 힘줘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침묵의 벽을 뚫고 나온 할머니들은 거리에서, 강연장에서, 법정에서, 한국에서, 일본에서, 또 세계 각국에서 피해사실을 증언하고 호소했다”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과 연대의 폭이 크게 확장됐고 아시아 다른 나라의 피해자들에게도 용기를 줬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은 자신들의 명예회복 요구에 머무르지 않고 나비기금을 통해 전시 성폭력 피해자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이제 우리는 아픈 상처를 넘어 세계 여성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실천해야 한다”며 “진실을 외면한 역사를 바로잡고 정의를 세우는 것이 우리의 할 일”이라고 말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저는 이 문제가 한일 간의 외교분쟁으로 이어지지 않길 바란다”며 “양국 간의 외교적 해법으로 해결될 문제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우리 자신과 일본을 포함한 전 세계가 전체 여성들의 성폭력과 인권문제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다시는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굳은 각성과 교훈으로 삼을 때 비로소 해결될 문제”라며 “우리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고 오늘 첫 국가기념식을 갖는 취지가 여기에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기념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약속도 곁들였다. 문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피해자 할머니들의 존엄과 명예를 회복하고 마음의 상처가 아물 때 비로소 해결될 수 있다”며 “정부는 피해자 할머니들과 지속적인 소통에 성의를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문 대통령은 “피해자 중심 문제 해결이라는 국제사회의 인권규범에 따라 할머니들을 문제해결의 주체로 존중할 것”이라며 “명예와 존엄 회복을 위한 기념사업도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피해자들의 증언과 시민사회, 학계의 노력으로 진실의 뼈대는 드러났지만, 아직 길이 멀다”며 “기록의 발굴부터 보존과 확산, 연구지원, 교육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거듭 약속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