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문재인 대통령, ‘여야정 상설국정협의체’ 거듭 촉구 …‘협치’ 호소

문재인 대통령, ‘여야정 상설국정협의체’ 거듭 촉구 …‘협치’ 호소

기사승인 2018. 08. 16. 14:1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9월 평양회담 "국회도 함께 가자" 남북국회회담 제안
4·27판문점선언 비준 동의, 9월 회담 힘 될 듯
8월 임시국회, 규제개혁·민생법안 처리 당부
비례성·대표성 담보한 선거제도 개편 강력 지지
문 대통령, 여야 5당 원내대표 오찬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5당 원내대표 초청 오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 직무대행, 바른미래당 김관영,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 문 대통령, 자유한국당 김성태, 민주평화당 장병완 원내대표. /연합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여야 원내대표들을 만나 ‘여야정 상설국정협의체’ 구성을 거듭 촉구하며 ‘협치’강화에 나섰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더불어민주당 홍영표·자유한국당 김성태·바른미래당 김관영·민주평화당 장병완·정의당 윤소하(직무대행) 의원 등 여야 5당 원내대표들과의 오찬에서 “국민들은 정말 여야정 간의 협치를 아주 간절하게 바라고 있다”며 대선 공통공약이기도 한 여야정 상설국정협의체 구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제가 당선된 다음날 취임식 전에 각 당을 방문해서 협조 부탁을 드렸었고 또 그동안 있었던 여야 각 대표 초청이나 원내대표 초청 만남 때 마다 거듭거듭 당부 말씀을 드렸다”며 “작년 9월 각 당 대표님들 만나는 자리에서는 사실은 구두 상으로는 구체적인 합의까지 이뤄졌었는데 그 뒤에 실행이 되지 못한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러면서 “오늘은 여야정 상설국정협의체를 좀 분명하게 합의해서 분기에는 적어도 한 번씩 개최 한다든지, 필요할 때는 추가로 여야 합의에 의해 국정협의를 한다든지 구체적인 협치에 대해서 합의를 해낼 수 있다면 국민들께 좀 희망을 드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거듭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나아가 9월 평양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는 점을 강조하며 4·27판문점 선언 국회 비준 동의안 처리를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다음 달에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는데 번 4·27 판문점 선언에 대해 국회에서 비준 동의를 해주신다면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때 훨씬 더 힘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방문 시기와 함께 방문단의 규모, 방문 일정에 대해 북측과 협의를 해야 하는데 우리 정부의 기본 입장은 그때 국회에서도 함께 방북을 해서 남북 간에 국회회담의 단초도 마련했으면 하는 욕심”이라며 “그렇게 되기 위해서도 이번에 4·27 판문점 선언의 비준 동의를 평양회담 이전에 해주신다면 남북 국회회담을 추진하는 데에도 큰 힘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또한 국회에서 논의 중인 선거구제 개편 논의에 대해 “조금 말씀드리기 망설여지기도 하고 조심스러운 부분인데”라고 운을 띄우면서 “아주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이 좀 분명하게 입장을 표명해 주었으면 하는 요청이 있는 것을 보았는데 아시는 바와 같이 선거제도 개편은 여야 간에 합의해서 결정되는 거고 대통령이 주도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며 “대통령이 입장을 강하게 내면 혹시라도 국회에서 자유롭게 논의하는 데 오히려 장애가 될까봐 망설여졌다”고 털어놨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비례성과 대표성을 제대로 보장할 수 있는 선거제도 개편에 대해서 대통령 개인적으로는 강력하게 지지한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한 이날부터 시작된 8월 임시국회에서 각종 민생개혁 법안을 처리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기록적인 폭염을 지적하며 “폭염을 재난에 포함시키는 재난안전법이나 전기요금 누진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방안들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혁신성장을 위한 규제혁신에 대해서도 뜻을 모아주시기를 당부를 드리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와의 회동은 작년 5월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