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스마트팜 보급 넓혀…혁신농업 미래 밝힌다

스마트팜 보급 넓혀…혁신농업 미래 밝힌다

기사승인 2018. 08. 22.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Print
스마트팜이 혁신농업 미래 키워드로 급부상하며 예비 창농인을 비롯해 농산업 전반에 걸쳐 관심이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을 역점 추진 과제로 선정, 로드맴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20일 농식품부 관계자는 “스마트팜을 혁신성장 선도사업으로 선정해 종합대책을 마련했다”면서 “기존 농가 단위의 스마트팜 보급 전략을 보완, 정책대상을 청년 농업인·전후방 산업으로 확대해 집적화된 확산거점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분야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이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규모화·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 등 생산·교육·인구 기능을 구비한 일종의 산업단지로, 농업인-기업-연구기관 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거점이다.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기본 요소는 스마트팜 단지·창업보육센터·실증단지다.

농식품부는 생산·유통, 교육, R&D, 창업·비즈니스 등 기능을 최대한 집적화하고, 청년·기업이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복지·문화서비스 사업과 연계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별 특화모델을 발굴해 농업인과 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2022년까지 권역별로 스마트팜 혁신밸리 4개소 조성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달 2일 경북(상주)과 전북(김제)을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지역으로 선정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두 지역은 혁신밸리 조성 취지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계획의 실현 가능성, 구체성과 타당성, 지역 자원 및 농업인과의 연계 등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경북은 혁신밸리 청년 보육체계와 자체 청년농 육성 프로젝트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매년 스마트 팜 전문인력 80명 배출 청사진을 제시했다.

또한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취·창업을 지원하고, 문화거리 조성과 주거시설을 공급해 청년 유입-성장-정착의 원스톱 지원에도 나선다.

전북은 스마트팜 관련 연구개발 인프라를 활용한 연구, 실증, 검인증 체계를 구축해 기술혁신을 앞당겨 농업과 전후방 산업 간 동반혁신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복안이다.

기존 농가의 노후화 시설을 스마트팜으로 전환하고, 지역의 통합 마케팅 조직을 통해 판로를 일원화하는 등 생산·유통을 지역 농업인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더불어 스마트팜 품목 다변화와 농가 소득 증진을 위해 혁신밸리를 중심으로 기능성 작물의 종자 개발부터 제품화까지 연계하는 모델 구축에도 나선다.

경북과 전북의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각각 KT·그린플러스·티에스팜·서우엠에스·사이언스팜·에스에스엘과 KT·팜스코·미래원 등 기업이 참여 의사를 밝힌 상태다.

단 농식품부는 대기업의 참여는 제한하겠다는 입장이다.

이개호 농식품부 장관은 “대기업의 스마트팜 혁신밸리 참여는 R&D 중심 실증단지에 한해 허용하는 등 보완책을 마련하겠다”면서 “대기업 진출을 돕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는 사전 점검해 차단하겠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가칭)스마트팜 혁신밸리 기획단’을 발족해 지자체·공공기관·전문가 등의 협업을 통해 지역의 기본계획 수립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자체가 제출하는 기본계획을 검토해 올해 말까지 승인할 계획”이라며 “내년부터 핵심시설 조성과 연계사업이 본격 착수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청년이 농업에 유입되고, 농업과 전후방 산업이 동반성장하는 혁신모델이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