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폼페이오 미 국무 “4차 방북 결과, 낙관적”

폼페이오 미 국무 “4차 방북 결과, 낙관적”

기사승인 2018. 10. 04. 04:1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미북정상회담, 비핵화 노력 계속 계획이란 결과 나올 것"
"종전선언 등 협상 진전 상황엔 '노코멘트'"
"비핵화 시간표 2021년 1월, 남북정상 평양서 언급한 것 반복"
"대북제재 유지, 전세계 만장일치 지지"
US Iran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3일(현지시간) 국무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오는 7일 예정된 4차 방북과 관련, “보다 나은 이해, 깊은 진전, 그리고 미·북 정상회담뿐 아니라 우리가 비핵화의 길을 구축하는 노력을 계속하기 위한 계획이라는 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데 대해 낙관적”이라고 말했다./사진=워싱턴 D.C. AP=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3일(현지시간) 오는 7일 예정된 4차 방북과 관련, “보다 나은 이해, 심화된 진전, 그리고 (2차) 미·북 정상회담뿐 아니라 우리가 비핵화의 길을 구축하는 노력을 계속하기 위한 계획이라는 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데 대해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국무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종전 문제는 이미 50년 전에 해결됐어야 한다는 새로운 논평을 내놨는데 이번 주 그 문제가 해결된 것인가. 그렇지 않다면 대신할 논리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종전선언 문제 등 협상의 진전 상황에 관해선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6월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한 약속을 진전시킬 또 하나의 기회를 얻기 위해 다시 방북하게 돼 매우 기쁘다는 말만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 “비핵화 시간표 2021년 1월, 남북정상 평양서 언급한 것 반복”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 비핵화의 시한과 관련, “우리는 빨리하고 싶지만 시간 게임을 하지는 않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인) 2021년에 대한 나의 언급은 내 것이 아니다”며 “그것은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가진 정상들 간에 이뤄진 언급으로 나는 그것을 반복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그곳(평양)에서 만났을 때 2021년에 관해 이야기했다”며 “그래서 나는 그들이 잠재적으로 합의할 준비가 돼 있는 시간표로서 (2021년을) 단순히 반복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9·19 평양공동선언이 발표된 직후인 지난달 19일 북·미 협상의 즉각적 재개 방침 선언하고 리용호 북한 외무상과의 뉴욕 회담,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북한 대표자와의 오스트리아 빈 회담을 제안하면서 “이는 2021년 1월까지 완성될 북한의 신속한 비핵화 과정을 통해 미·북 관계를 전환시키고, 한반도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협상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인 2021년 1월까지 비핵화를 완성한다는 시간표와 관련, 김 위원장이 약속한 내용이라고 거듭 강조했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달 5일 방북한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사단과 면담한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내 비핵화’ 시간표를 언급했다고 특사단이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시간 싸움을 하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언급,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정확하게 옳다. 이것은 수십 년간 해결되지 않은 장기간의 문제”라며 “우리는 지난 오랜 시간 동안 이뤄진 것보다 더 큰 진전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비핵화 협상 시한과 관련해 “시간 싸움을 하지 않겠다. 2년이 걸리든, 3년이 걸리든, 혹은 5개월이 걸리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 “중·러, 대북제재 완화 적절한 시점 논의 관련 아이디어 가지고 있었지만 제재 유지 지지”

폼페이오 장관은 아울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와 관련, “중요한 것은 최종적인 목표(비핵화)를 달성할 기회를 우리에게 계속해서 제공하는 여건 아래에서 진전을 만들었다는 것으로 그것은 경제적 제재의 지속적인 유지”라며 “우리에게 (북한의) 비핵화를 제공하는 능력을 주는 핵심 제안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러시아와 중국은 이것들(제재)을 완화하는 적절한 시점을 고려하기 시작하는 데 대한 방법에 관해 약간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다”면서도 “하지만 이들 국가도 유엔 안보리 결의와 제재 유지를 지지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전 세계의 많은 문제 가운데 이렇게 만장일치인 것을 찾을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을 정도의 국제사회 약속”이라며 “이번 주 나의 노력은 유엔 안보리가 북한에 지시한 것을 달성하기 위해 나아가는 한 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