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칼럼]농업·농촌의 메신저, 농촌지도

[칼럼]농업·농촌의 메신저, 농촌지도

기사승인 2018. 10. 16.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라승용
라승용 농촌진흥청장
오감을 총동원해 전달할 정보를 수집하는 메신저에게 믿음과 인내는 필수 덕목이다. 우리나라 농촌지도사업도 메신저의 역할과 닮아있다.

농촌지도는 농업과 농촌, 농식품, 농업인과 관련된 기술과 지식정보를 농업인과 소비자에게 보급하는 일이다.

한국전쟁 후 격동의 10년이 지난 196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농업 농촌의 발전을 견인해 온 한 축에는 농촌지도자라는 든든한 메신저가 있다. 1970년대 전 국민의 배고픔을 해결한 ‘통일벼’ 증산도 조직화된 농촌지도 요원의 헌신적인 노고가 있어 가능했다.

시·군은 물론 읍면 단위 농가나 마을회관을 수시로 찾아 볍씨를 보급하고 소독부터 육묘, 이앙, 관리, 수확에 이르기 까지 전 과정을 세세하게 전수한 농촌지도자 덕분에 녹색혁명은 성공, 그 이상이었다.

경지면적당 쌀 생산량이 세계 최고를 기록하며 농가소득이 늘었고, 연관 산업의 동반 성장으로 국가 경제성장의 기반을 닦는 분기점이 됐다.

농촌진흥청은 1990년대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아 병해충종합관리사업을 펼쳤다.

‘Hands-on training’ 방식으로 훈련된 전문지도사를 현장에 투입해 농약 50% 감축 효과를 냈고 아시아 최초로 ‘친환경농업육성법’ 제정의 기틀을 다졌다.

농촌인력 육성의 요람인 농업인대학도 빼놓을 수 없다. 족집게 수업 덕분인지 농업인대학을 수료하면 당연히 농업소득도 높아졌다.

농촌여성들의 경제적 능력이 향상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해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농산물가공교육장을 설치하고 농산물 가공기술을 지도해 지역 브랜드로 키워내기도 했다.

우리나라 농촌지도의 특징은 중앙행정기관인 농촌진흥청이 농업연구와 농촌지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농촌지도와 농업연구가 연계된 덕분에 수요자 중심 농촌지도가 원활해진다.

우리나라 농촌지도 사례는 2012년 세계농촌지도포럼(Global Forum for Rural Advisory Services. GFRAS)에서 개발도상국의 농업농촌 발전을 앞당길 수 있는 우수모델로 소개되며 주목받았다.

2018 세계농촌지도포럼이 이달 22일부터 나흘 동안 농촌진흥청과 전북 일원에서 열린다. 지난 50여 년간 우리나라가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농촌지도사업의 현장 경험을 세계 60여 개국에서 온 농촌지도 전문가들과 공유하는 자리다.

‘효과적인 농촌지도 파트너십 증진을 통한 도전과제 해결과 기획포착’이라는 주제로 지속가능한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활발한 논의도 펼친다.

‘후진국은 공업화를 통해 중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지만 농업과 농촌의 발전 없이 선진국으로 진입할 수 없다.’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 경제학자 사이먼 쿠츠네츠 교수의 말이다.

원조 받던 나라에서 반세기만에 원조하는 나라로 진화한 전 세계 유일무이한 나라인 대한민국. 이번 글로벌포럼을 위해 각국에서 온 메신저의 귀한 발걸음은 다시 세계로 나아가 농업 농촌 발전에 충실한 가교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믿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