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생기 도는 전력 인프라 산업…난관은 표준화·중국 견제

생기 도는 전력 인프라 산업…난관은 표준화·중국 견제

기사승인 2018. 10. 17.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남북이 철도·도로 연결과 현대화를 위한 착공식을 11월말∼12월초 진행하기로 합의하면서 기업들의 대북 사업도 활기를 띨 전망이다. 블루오션 중 하나인 전력 인프라 산업에도 기대감이 돌고 있다. 업계는 추후 대북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려면 북한과의 기술 및 전압 체계 차이를 좁히고, 주변국 기업들과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해야 한다는 점을 꼽는다.

16일 유관 업계에 따르면 전력 인프라 관련 기업들은 사업 기회가 구체적으로 열린 이후에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북한 시장을 기회의 시장으로 보고 진출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데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전기산업진흥회가 전기산업 대북진출 전략위원회 위원 및 진흥회 회원사·전기업계 종사자 6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투자가 유망하고 남북협력이 기대되는 분야로 송배전망의 현대화 등이 꼽혔다. 이어 발전소 건설·ESS·마이크로그리드 등 분산전원·발전소 개보수 순이었다.

최근 LS산전 등도 이같은 분야를 강조하고 있다. LS산전은 최근 ‘한국스마트그리드 엑스포2018’에 참가해 대북 전력 인프라 구축을 비롯해 동북아 전력망 연계 사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고압직류송전(HVDC), 지역 단위 분산전원 마이크로그리드의 기술력을 강조했다. 마이크로그리드는 소규모 지역에서 전력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을 말한다.

다만 전기 산업분야의 대북진출 시 전기기기 사양 등의 기술 및 전압 체계의 차이 등은 걸림돌이다. 실제로 남북한이 사용하는 전압·전류가 다르고, 전압체계 등에서 기술적 차이가 나 통일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유관업계는 전력 계통 표준화 방향에 따라 중국·러시아 기업이 선점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에도 북한 개혁·개방 시 우려되는 경쟁 상대국은 중국이 85.5%로 가장 높았으며 일본·미국·러시아 순이었다.

또한 이전의 대북 사업의 가장 큰 리스크였던 정경 분리도 손꼽힌다. 과거 국내 기업이 진행하는 대북 사업은 정권에 따라 냉온탕을 오갔다.

전기산업진흥회 측은 “남북 경협 시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양 정부가 정권 변동에도 변하지 않는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면서 “지속적이고 중장기적인 마스터 플랜 확보를 비롯 비상사태 발생 시 대처방안과 지원 등 정부의 확고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전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