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11년새 4배로 증가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11년새 4배로 증가

기사승인 2018. 11. 21. 12:1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질병관리본부(신)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이 최근 11년 새 4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2만9262건으로 2006년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 발생률은 지난해 기준 인구 10만명 당 57.1명이다. 급성심장정지 환자 수는 2006~2015년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고 있다.

환자 성비는 남성이 64~65% 정도로, 여자보다 2배 정도 많았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원인은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의 심장 질환이 70% 이상이었다. 급성심장정지 발생의 50% 가량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이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도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생존율은 8.7%로 2006년 2.3% 대비 대비 3.8배로 증가했다. 이 기간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퇴원 당시 혼자 일상생활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뇌 기능이 회복되는 비율도 5.1%로 8.5배 높아졌다.

지난 11년간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의 지역 격차는 더 커져 2006년 4.2%포인트였던 지역 간 차이는 2017년 8.6%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지난해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1.0%로 2008년 1.9%에 비해 약 11배 증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상승하고 있지만 발병 원인으로 꼽히는 ‘심장박동 이상’을 앓는 환자는 증가해 2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심장박동의 이상으로 인해 병원을 찾은 인원은 2012년 14만5000명에서 2017년 19만9000명으로 36.9% 증가했다. 연평균 6.48%씩 늘어난 셈이다.

지난해 기준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50대가 3만9000명(19.8%)으로 가장 많았다. 60대(3만4000명, 17.5%), 40대(3만3000명, 16.7%) 순이었다.

이한철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이전과는 달라진 서구형 식단과, 잦은 음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부정맥 또한 증가하는 추세”라며 “많은 형태의 심장박동 이상은 심근경색이나 심부전 등 심혈관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므로 동반된 심장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심장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카페인 섭취와 음주를 자제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식사습관 교정 등 생활방식 개선이 필요하다. 나이가 들수록 부정맥 등 관련 질환 발생률이 증가하므로 정기 검진을 통해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파악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이 교수는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