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탄소에서 수소경제로… 신산업 키우고 에너지 안보까지

탄소에서 수소경제로… 신산업 키우고 에너지 안보까지

기사승인 2019. 01. 18.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부가 화석연료로 산업과 사회가 움직이던 ‘탄소경제’ 시대를 지나 친환경 무한 자원인 ‘수소경제’ 시대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물론이고, 신산업 육성과 에너지 안보까지 챙기겠다는 비전이다.

17일 문재인 대통령은 울산시청에서 “탄소경제시대에 우리는 원유과 천연가스를 전량 수입해야 했기 때문에 국제 가격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며 “수소경제 시대는 다르다”며 확고한 추진 의지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수소는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는, 마르지 않는 자원”이라며 “현재는 화석연료에서 추출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앞으로는 태양·풍력·바이오 등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생산하는 것이 일반화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소경제는 에너지를 수입하지 않고 자급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게 문 대통령 설명이다. 수소는 4가지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는 데 그 중 재생에너지 등과 결합해 소위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전해 방식은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궁극적인 친환경 생산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는 그동안 일본·호주·EU 등의 수소 정책 추진 현황을 참조하고 우리가 가진 경쟁 여건, 시장환경 변화, 기술발전 추이 등을 면밀히 검토해 ‘수소경제’를 혁신성장의 새로운 성장동력인 동시에 친환경 에너지의 원동력으로 삼기로 최종 판단했다.

수소경제를 통해 자동차·선박 등 수송분야와 전기·열 생산 등 에너지분야까지 다양한 새로운 시장과 산업창출이 가능하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특히 생산, 운송·저장,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은 연관 산업에 효과가 크고 중소·중견기업의 투자와 고용창출까지 가능한 미래 성장산업이라는 데 주목한다. 온실가스 감축과 미세먼지 저감,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 등 친환경에너지 확산과 에너지원 다각화, 해외 에너지 의존도 감소 등 에너지 자립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봤다.

2040년까지 국내에 약 8GW 수준의 연료전지 발전을 통해 ‘에너지 믹스’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국내 총 발전설비가 약 110GW인 점을 감안하면 수소 연료전지가 전체 비중의 약 7%에 이르게 된다.

정부는 수소경제를 통해 2040년 연간 43조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소선박과 수소열차, 수소건설기계 등 미래 유망품목을 키워내겠다는 방침도 내놨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