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소방청, 과기부·경찰청과 합동으로 구조요청자 정밀 위치측정 기술개발

소방청, 과기부·경찰청과 합동으로 구조요청자 정밀 위치측정 기술개발

기사승인 2019. 01. 20. 12: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clip20190120090453
소방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경찰청과 협력해 범죄·재난 상황에서 구조 요청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측위 기술개발’에 착수한다고 20일 밝혔다.

휴대폰을 이용해 112 또는 119로 구조를 요청할 경우 기존 긴급구조시스템을 통해 파악된 구조요청자의 위치 범위는 100m 이상 차이가 나고 실내 위치를 파악하는 정확성도 미흡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긴급한 범죄·재난 상황에서 경찰·소방인력이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했으나 구조 요청자의 위치 파악이 부정확해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가 있었다.

소방청·과기정통부·경찰청은 범죄재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와 직결되는 정밀 측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난해에 다부처 협력 연구개발 사업으로 정밀측위 기술개발을 기획했으며, 오는 2022년까지 4년간 총 201억원을 투입해 연구개발과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기존 2차원(평면) 위치정보만 나타내는 기술을 3차원(높이)까지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하고, 인공지능기술을 접목한 정밀측위 핵심기술을 개발해 실외는 물론 실내 위치 정밀도까지 높여, 50m 이하로 위치측정 오차 범위를 줄인다. 또한 그동안 긴급구조 측위가 안됐던 단말(알뜰폰·자급제폰·키즈폰·유심이동폰 등)도 측위가 가능하도록 연동표준을 개발해 긴급구조 측위 사각시대를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경찰청은 전국 단위의 긴급구조용 지능형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측위용 데이터를 수집해 과기정통부에 제공, 현장에서 LTE 신호세기 및 시간지연정보로 거리를 측정하는 정밀측위 기술을 개발하고 112 신고 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시험을 추진한다.

소방청은 화재 등으로 재난현장 건물 내 기존 무선통신 인프라(Wifi, 비콘 등)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소방용 전용 단말기를 통해 자체적으로 소방대원과 실내 요구조자의 측위 정보를 확보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119 신고 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시험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다부처 간 원활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R&D전문기관인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참여하는 사업추진 협의체를 구성해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의 주요 사항을 긴밀히 협의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이 사업은 국민·경찰·소방관 등 수요자가 직접 참여해 현장문제를 해결하는 리빙랩(Living Lab) 방식으로 추진해 연구 성과물의 완성도를 높여 활용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라며 “정보통신 기술이 공공안전 및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과제 공모기간은 21일부터 2월 20일까지이며, 과제내용 및 접수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과기정통부·경찰청·소방청·정보통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