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2차 북미정상회담 2월말 베트남 개최 유력 속 북미 실무협상 돌입

2차 북미정상회담 2월말 베트남 개최 유력 속 북미 실무협상 돌입

기사승인 2019. 01. 20. 10:3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트럼프 "2월말 합의했고, 개최 국가 골랐다"
베트남 유력 속 하노이 다낭 놓고 저울질 보도
베트남, '선 비핵화-후 경제번영 지원' 개혁개방 '도이머이' 북한 롤모델
US NKorea
미국과 북한이 2차 북·미 정상회상 일정과 개최 국가를 사실상 확정 짓고, 북·미 간 실무협상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를 놓고 막판 조율에 들어갔다. 사진은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18일 방미 기간 속소인 워싱턴 D.C. 내 듀폰서클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의 고위급회담에 앞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사진=워싱턴 D.C. AP=연합뉴스
미국과 북한이 2차 북·미 정상회상 일정과 개최 국가를 사실상 확정 짓고, 북·미 간 실무협상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를 놓고 막판 조율에 들어갔다.

개최 국가는 베트남이 유력한 가운데 수도 하노이와 다낭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전날 진행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의 백악관 면담을 설명하면서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 “우리는 언젠가, 아마도 2월 말에 만나기로 합의했다”며 “(개최) 국가를 골랐지만 추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일정과 장소 문제를 사실상 마무리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전날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부위원장의 ‘90분 면담’ 뒤 “2차 정상회담은 2월 말께 열릴 것”이라며 회담 장소에 대해선 추후에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었다.

장소와 관련, 한 외교소식통은 “사실상 베트남으로 굳혀진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로이터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개최국이 어딘지 부연하지 않았지만 베트남이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검토돼 왔다”고 보도했다.

CNN방송은 지난 8일 미 백악관이 2차 정상회담 장소 선정을 위해 태국 방콕과 베트남 하노이와 하와이를 답사했다고 보도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김 위원장에게 보낸 친서에서 베트남과 태국을 선택지로 제시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베트남으로 최종 낙점된다면 구체적인 개최 도시로는 당초 수도인 하노이가 유력하게 거론돼왔지만, 현지 외교가 등에서는 보안과 경호 문제 등을 감안해 다낭 개최설에 점차 무게가 실린다는 전망도 나온다.

워싱턴포스트(WP)도 최근 다낭이 개최지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하노이는 베트남의 수도로 북한 대사관이 있는 곳으로, 김 위원장의 전용기 ‘참매 1호’기의 항속거리 등을 고려해 초기부터 거론돼왔다. 유명관광지가 밀집한 휴양지인 다낭은 베트남전 당시 전투가 가장 치열하게 벌어져 상흔이 많은 베트남 중부 최대 상업 도시이다. 두 곳 모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개최한 경험이 있고, 회담을 위한 인프라도 잘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베트남은 베트남전 당시 미국의 적대국이었지만 이후 베트남이 미군 유해송환 등을 통해 신뢰를 구축, 미국과 국교를 정상화한 뒤 경제성장을 이룬 역사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70년간의 적대관계를 청산, 새로운 미래를 모색하려는 현 북·미 협상 국면에서 상징성이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선(先)비핵화-후(後) 경제번영 지원’을 강조해온 미국은 그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베트남을 북한의 롤모델로 거론하며 ‘베트남의 길’을 가라고 권고해왔다.

리용호 북한 외무상도 지난해 11월 말∼12월 초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베트남식 개혁개방 모델인 ‘도이머이’ 관련 현장을 직접 참관, 벤치마킹에 나섰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