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중 대도시 농민공들 3중고로 신음, 고향 앞으로

중 대도시 농민공들 3중고로 신음, 고향 앞으로

기사승인 2019. 02. 18. 16:2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감원에 감봉, 살인적인 집값으로 더 이상 버티지 못해
중국 대도시에서 일하는 시골 출신을 일컫는 농민공들이 최근의 경기 침체로 감원·감봉은 물론 천정부지로 뛰는 집값 등의 3중고를 겪고 있다. 이로 인해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구정)를 맞아 고향을 찾았던 농민공의 상당수가 도시 귀환을 포기하는 경우도 속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고생을 하면서 도시에서 일해봤자 가계부가 적자를 면치 못한다는 판단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농민공
베이징 소재 한 공사장의 여성 농민공들. 대도시에서의 생활이 어려워 귀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제공=신화(新華)통신
현재 베이징, 상하이(上海) 등을 비롯한 대도시의 일자리 상황은 하방 압력을 받고 있는 중국 경제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봐도 좋다. 싱다오르바오(星島日報)를 비롯한 홍콩 언론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농민공들이 가장 많이 몰리는 곳인 공사현장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건설 경기까지 직격탄을 맞은 탓에 고용보다는 해고가 일상이 되고 있다. 그렇다고 현장의 임금이 인상되고 있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평균 5% 전후 떨어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최저임금을 20위안(元·3300원)으로 환산, 하루 10시간씩 25일을 일한다고 볼 때 월 5000위안(82만5000원) 정도 밖에는 벌지 못한다. 자연스럽게 잔업이나 휴일 근무도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

문제는 이렇게 벌어도 남는 돈이 별로 없다는 사실이다. 베이징 등의 대도시에서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하려면 꽤 많은 돈이 들어가기 때문. 우선 아무리 절약한다고 해도 주거비에 월 1000위안 정도는 들어간다. 여기에 식비와 잡비 등까지 감안할 경우 월 6000위안 정도 벌면 고향 집에 송금할 돈은 얼마 남지 않게 된다. 집안 경제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 채 몸만 축나는 고된 노동에 내몰리는 셈이다. 차라리 고향에서 농사를 짓는 것이 더 낫다고 해도 크게 무리는 없다.

춘제를 맞아 귀향했다 그대로 눌러 앉는 경향은 중국 경제가 극적으로 초호황 국면에 진입하지 않는 한 향후 대세로 굳어질 수밖에 없을 듯하다. 이런 현상이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다. 인력의 대거 유출로 전국 곳곳의 농촌에 노동력 부족 현상이 일상이 되는 것을 보면 그렇다고 봐야 한다. 여기에 부모가 대도시로 나가면서 홀로 남게 된 이른바 유수(留守) 아동들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봐야 한다. 헤이룽장(黑龍江)성 우창(五常) 출신의 현장 근로자 장민얼(江敏爾) 씨는 “대도시에서의 노동이 좋은 시절은 이제 다 지나갔다. 일자리도 줄고 생활비가 엄청나게 든다. 요즘 농촌도 살기 좋아진 만큼 농업에 종사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면서 자신도 귀향하려고 생각중이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농민공들의 잇따른 고향 귀환은 대도시 노동현장에서의 인력난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 실제 베이징 같은 경우는 현재 상황이 대세가 될 경우 2∼3년 내에 육체 노동자들의 몸값이 금값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학을 졸업한 화이트 컬러들도 현재와 같은 적은 임금으로는 베이징 등의 대도시 생활이 어려워 2, 3선 도시 취업을 선호하는 현실을 볼 때 노동현장에서의 인력난은 불가피해 보인다. 지난 40여년 동안 일선 노동현장에서 중국 경제를 떠받쳤다는 소리를 들었던 농민공은 머지 않아 구시대의 유물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