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타다’ 출시 5개월…개선 과제는

‘타다’ 출시 5개월…개선 과제는

기사승인 2019. 03. 20.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타다1
/사진=타다
공유경제 시대 대표적인 비즈니스 모델인 ‘승차 공유 서비스’ 열풍이 전 세계적으로 번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10월 국내 시장에 새롭게 등장한 ‘타다’가 흥행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그간 규제 등의 이유로 몸살을 앓으며 국내에서는 이렇다 할 승차 공유 서비스를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타다는 택시와 버스 중간 영역인 틈새시장을 노리는 데 성공하며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뽐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서비스 5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개선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중국 등 해외 시장과 다르게 국내에서는 택시업계와의 충돌로 승차공유 서비스들이 첫 발을 떼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유일하게 국내에서는 타다가 빠른 속도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다만 타다는 서비스에 대해 호평을 받고 있지만 배차 후 오랜 대기 시간과 운전자의 고속 운행 부분에서 개선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승차거부가 없는 타다는 호출 즉시 차량이 바로 배차되는 방식인 반면 총 운행대수가 서울과 수도권에서 600여대밖에 없다. 이 때문에 배차 후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다. 타다는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택시업계와의 상생을 선택했다. 타다는 택시업계와 손잡고 준고급 택시 서비스 ‘타다 프리미엄’을 4월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타다 관계자는 “타다 베이직의 차량대수를 늘리기 보다는 택시 회사와 협업을 통해 인프라를 활용할 예정”이라며 “4월부터 서울에서 100대 서비스를 시작으로 올해 안에 1000대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 타다를 이용한 고객들 사이에서는 드라이버가 과속운전을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택시 대신 타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지은(28)씨는 “운전기사마다 편차가 있지만 간혹 과속운전하는 기사들이 있어 천천히 운전해달라고 요청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다만 타다는 고객 중심 서비스를 위해 타다 드라이버에 대한 인센티브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때문에 일부 과속운전을 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있으나 타다 관계자는 “인센티브 지급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요한 기준은 서비스 품질을 반영하는 승객 별점으로, 일정 기준 이상이 유지돼야만 한다”면서 “수요 집중에 따른 호출 및 운행건수 증가에 대한 보상을 해드리자는 측면에서 도입한 기준으로, 해당 기준이 불이익을 주거나 운행 경쟁을 일으키기 위한 부분은 아니며 승객의 만족도가 드라이버 평가의 가장 우선순위”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에서 우버 등 기존에 진입한 승차공유 업체들이 규제에 막혀 줄줄이 철수했을 뿐 아니라 카카오T 카풀 역시 규제에 막혀 서비스를 중단한 상황에서 국내 승차공유 플랫폼이 흥행 초기 단계에 진입한 것은 타다가 처음인 만큼 이에 거는 기대가 크다.

승차 공유 서비스의 시초라 할 수 있는 우버를 시작으로 그랩·디디추싱·리프트 등의 서비스가 해외에서는 활발하게 활용되며 성공 사례를 써낸 것처럼 ‘한국판 우버’를 만들 수 있을지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성공사례를 써내기 위해서는 택시 업계와의 상생을 이끌어 내는 것 역시 또 다른 개선 과제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예컨대 미국은 주마다 다른 법령을 따르지만 우버 등 신규 모빌리티 출범에 따라 택시업계의 반발에도 정부가 법 체계를 마련하는 과도기를 거쳐 모빌리티-택시 업계 간 상생을 이끌어 내고 있다. 실제로 메사추세츠주에서는 택시 발전 기금 조성안을 내놨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는 우버 이용시 건당 일정 기금을 택시 기급으로 적립하는 방식으로 택시업계와 상생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신규 모빌리티는 공유 경제의 흐름인데 우리나라는 3-4년 뒤처진 상태”라면서 “생존권을 위협받는 택시업계와 모빌리티 업계의 대결 양상 구도인데 향후 택시의 경쟁력을 정부가 어떻게 심어주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사납금 등의 문제로 택시 업계가 열악한 환경에 처해있는 만큼 향후 정부와 지자체 및 협의회 간 논의를 통해 해외 사례처럼 상생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