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포항지열발전소 폐쇄…정부 신재생에너지 사업 차질 불가피

포항지열발전소 폐쇄…정부 신재생에너지 사업 차질 불가피

기사승인 2019. 03. 20. 18:3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울릉도·광주 발전소 건립계획도 줄줄이 백지화 위기
포스코 등 참여기업 피해 우려도…보상 대책도 없어
Print
2017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의 원인으로 당시 인근 지역에서 시범 가동되던 지열발전소가 지목됨에 따라 정부가 추진하던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정책도 일정 부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20일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의 ‘포항지진과 지열발전간의 연관성 분석 연구결과’ 발표 직후 긴급 브리핑을 갖고 지난 2010년부터 추진해온 ‘(MW급)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사업’을 관련 절차를 거쳐 영구 중단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포항지진 이후 가동이 일시 중단됐던 경북 포항시 흥해읍 남송리 소재 포항지열발전소는 영구 폐쇄되고 해당 부지도 발전소 건립 이전 상태로 복구된다.

국내 첫 지열발전소로 건립된 포항지열발전소는 2010년 말 당시 이명박 정부의 ‘지열발전 상용화’ 연구개발(R&D) 사업의 하나로 시작됐다. 발전소 건립에는 국비 185억원을 포함해 총 391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 가운데 지열발전 전문 국내 중소기업인 넥스지오가 주관기관으로 포스코와 이노지오테크놀로지·지질자원연구원·건설기술연구원·서울대가 참여했다.

2012년 9월 발전소 기공식 당시 산업부(지식경제부) 측은 ‘신재생에너지의 새로운 강자 등장’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포항지열발전소 등 지열발전은 기상여건에 관계없이 항시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앞으로 전력 수급안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비록 이명박정부 당시 시작된 국책사업이지만 포항지열발전소 폐쇄와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사업 중단은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탈원전·탈석탄 정책을 강하게 추진했던 현 정부에도 적잖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포항 외에 또다른 지열발전 사업으로 추진됐던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이 백지화된 게 대표적이다. 정부는 2014년 지열발전을 신재생에너지원에 포함시키면서 울릉도와 광주광역시에도 각각 710억원, 820억원 지열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하겠다는 계획까지 발표한 바 있다.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사업은 이곳에서 생산 가능한 태양광·소수력·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지열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87%를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인 비중을 갖고 있었지만 결국 포항지진 발생으로 유탄을 맞게 됐다. 울릉도와 함께 추진됐던 광주시 지열발전소 건립 계획도 2017년 포항지진 이후 이렇다할 움직임이 없어 사실상 백지화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사업을 영구 중단키로 함에 따라 포항지열발전소 건립 당시 참여했던 포스코 등 민간기업의 피해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가장 큰 피해기업은 포항지열발전소 건립을 주관으로 부지 매입과 시설물 건축 등에 200억원 이상 투입한 것으로 알려진 네오지오다. 발전소가 위치한 흥해읍 남송리 소재 부지(1만3500㎡)와 건물(450㎡)은 모두 넥스지오 소유다.

포스코의 경우 지열발전소 부지에 지상플랜트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사업에 참여했지만, 2016년 6월 1차설비가 완공된 이후 여타 공정이 지연되면서 한번도 가동되지 못해 무용지물이 된 상태다.

더욱이 정부가 이날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의 영구중단을 발표하면서도 포항지열발전소 건립 참여기업에 대한 후속조치를 내놓지 않아 시설 설치에 투입된 비용을 보상받기까지는 적지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