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우즈베키스탄 목화 수확에 강제 아동노동…개선되나

우즈베키스탄 목화 수확에 강제 아동노동…개선되나

기사승인 2019. 04. 04. 15:4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마르지요예프 대통령, '강제 아동노동' 종식 선포
지난해 목화 수확 아동노동 전년比 48%↓
GettyImages-1066178794
우즈베키스탄 목화./게티이미지
면직물 산업은 낡고 오래됐다는 인상을 준다. 하지만 국제무역이나 고용 측면에서 면산업은 여전히 중요한 위상을 갖고 있다. 면직물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는 3억5000만명으로 전세계 인구의 3~4%에 달한다. 합성섬유가 섬유산업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속옷·양말·이불·지폐 등에 이르기까지 면(綿), 즉 목화는 삶의 곳곳에 파고들어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세계 6대 목화 생산국으로 2017년 기준 전체 수출에서 목화가 차지하는 비중도 25%에 달한다. 하지만 정부 주도의 동원정책에 따라 아동노동을 중심으로 한 강제노동 문제가 논란이 됐는데, 최근 들어 개선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더 디플로맷의 3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25일 연방 관보를 통해 우즈베키스탄산 목화를 아동노동으로 생산된 제품 목록에서 공식적으로 삭제했다. 우즈베키스탄 외교부는 27일 즉각 환영 성명을 발표했으며, 국제노동기구(ILO) 역시 보고서를 통해 우즈베키스탄 내 강제노동 문제가 이전만큼 심각한 상태가 아니라고 밝혔다.

우즈베키스탄은 목화뿐 아니라 천연가스·금·텅스텐 등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2012년~2017년 평균 7.4%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성장 잠재력이 큰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구(舊) 소련 붕괴 이후 20년간 집권했던 이슬람 카리모프 전 대통령은 대규모 강제노동 정책을 고수해 국제사회로부터 비난을 사 왔다. 목화 수확 시기가 도래하면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수확에 동원했다.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거나 작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학생들을 퇴학시키거나 성인들에게는 연금 및 복지에 불이익을 줬다. 이는 교사·의료진에게도 적용됐으며, 심한 경우 실직에 이를 수도 있다. 특히 초등학생부터 17세 청소년에게 부과되는 하루 할당량은 85kg으로 이를 위해서는 장장 16시간의 중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이처럼 우즈베키스탄 당국은 최대 수출품인 목화 수확에 강제노동을 시행해 왔지만 국제노동기구 및 인권단체의 개선 압박에 이 같은 폐단은 줄어드는 추세다. 실제 2016년 이슬람 카리모프 전 대통령이 타계하면서 취임한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2018년 강제노동 종식을 선포했다. 국제노동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수확기 아동노동은 전년도보다 48% 줄었으며, 강제노동에 동원된 사람도 전체 목화 수확 인원의 6.8%에 불과했다.

지난해 목화 수확 노동에 지급되는 임금 역시 전년 대비 85% 상승했다. 특히 교사·의료진 등에 대한 강제동원으로 발생했던 교육과 보건 분야의 업무 차질 역시 정상궤도에 접어들게 됐다. 국제노동기구 보고서는 강제노동을 뒷받침할 ‘법적’ 제도가 여전히 존재하긴 하지만 강제노동과의 전쟁에서 진일보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국제사회에서는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이 지난 2003년부터 2016년까지 총리직을 수행하면서 목화 수확 관련 동원정책을 총괄했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실질적 개선 여부에는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실제 일부에서는 강제노동 인력이 아동에서 성인으로 단순 대체됐을 뿐이라는 부정적 평가도 내놓고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