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트럼프, ‘핵·핵물질 미국 반출, 시설 완전해체’ 요구에 김정은 얼굴 붉히면서 반발

트럼프, ‘핵·핵물질 미국 반출, 시설 완전해체’ 요구에 김정은 얼굴 붉히면서 반발

기사승인 2019. 04. 07. 03:2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요미우리신문 "트럼프 대통령, 김정은 위원장에 비핵화·미군 유해 발굴 제안"
"비핵화 정의, 핵·핵물질 미국 반출, 시설 완전해체"
"동결조치, 신고·검증" 요구
"김정은, 일방적 비핵화 요구, 수용불가 반발"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진행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2차 북·미 정상회담 때 5개 항의 합의문 초안을 제시했지만 김 위원장이 얼굴을 붉히면서 “일방적인 비핵화를 요구하는 미국의 주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반발했다고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이 6일 보도했다.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지난달 28일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에서 단독 정상회담을 하는 모습./사진=하노이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진행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2차 북·미 정상회담 때 5개 항의 합의문 초안을 제시했지만 김 위원장이 얼굴을 붉히면서 “일방적인 비핵화를 요구하는 미국의 주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반발했다고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이 6일 보도했다.

요미우리는 이날 한·미·일 협상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요구 항목 2개와 보상항목 3개 등 크게 5개로 구성된 초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 요구항목은 비핵화 조항으로 △비핵화의 정의 △동결 조치 △신고 및 검증조치 등 3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비핵화의 정의는 ‘북한 핵무기와 핵물질을 미국에 반출하고 전체 관련 시설의 완전한 해체’를 명기하고 있다. 동결 조치는 ‘북한이 모든 핵 관련 활동과 새로운 시설의 건설을 중지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아울러 신고 및 검증조치로 ‘북한은 핵 개발 계획을 포괄적으로 신고하고 미국과 국제사찰단의 완전한 접근을 허가한다’고 명시했다.

요미우리 보도는 로이터통신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김 위원장에게 건넨 한글·영어 문서 가운데 영어 버전을 입수해 지난달 29일 보도한 내용과 맥을 같이 한다.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북한의 핵무기와 핵폭탄 연료를 미국으로 넘기고, “핵 인프라와 화학·생물전 프로그램, 관련된 이중 용도(dual-use) 능력, 즉 탄도미사일·발사대, 관련 시설의 완전한 해체”를 요구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포괄적 신고 및 미국과 국제 사찰단에 대한 완전한 접근 허용, 모든 관련 활동 및 새로운 시설 건설 중단, 모든 핵 인프라 제거, 핵 프로그램 과학자 및 기술자의 상업적 활동으로의 전환 등 4가지 다른 요구도 담겼다

요미우리가 전한 미국의 두 번째 요구사항은 북한 내 미군 병사 유해에 대한 발굴 작업을 개시하는 것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이들 요구를 수용하는 대가로 △한국전쟁 종전 선언 △북·미 상호 연락사무소 설치 △대북경제지원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종전 선언과 연락사무소 설치의 단서 조항으로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완전히 폐기했을 때’로 못 박았다.

이와 함께 경제지원의 전제로는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실현했을 때’라는 조건을 내세웠다.

초안 5개 항 중 보상 3개 항과 미군 유골 발굴 문제에 대해선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김혁철 북한 국무위원회 대미특별대표 간의 실무급 협의 단계에서 대략적인 합의가 이뤄졌지만 비핵화 부문에선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영어와 한글로 쓰인 5개 항의 초안을 제시하자 김 위원장이 얼굴을 붉히면서 “일방적인 비핵화를 요구하는 미국의 주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반발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공화당 의회위원회(NRCC)의 춘계 만찬에서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당시를 회고하면서 김 위원장에게 “당신은 합의할 준비가 안 돼 있다”고 말한 뒤 회담장을 나왔다고 밝혔다.

요미우리는 김 위원장은 영변 핵 시설 폐기 요구에만 응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회담이 결렬됐다고 전했다.

한 소식통은 “트럼프 정부는 초안에서 제시한 비핵화 방침을 앞으로도 관철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요미우리는 미국의 초안에 담긴 로드맵은 핵의 국외반출 후에 제재를 해제했던 ‘리비아 방식’을 모델로 삼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한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은 합의가 이뤄진 뒤 1년 안에 미국 테네시주 동부의 오크리지로 북한 핵무기를 옮겨놓으려는 의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오크리지에는 리비아에서 반출한 원심분리기 보관 시설이 있다.

이와 관련, 국무차관 시절에 리비아의 핵 포기를 이끈 주역인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위원회(NSC) 보좌관이 북^미 교섭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요미우리는 지적했다.

요미우리는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볼턴 보좌관이 하노이회담에서 “적의와 불신의 분위기를 조성했다”고 이름을 거론하며 비판했다며 북한이 향후 미국과의 협상에서 볼턴 보좌관을 배제하려는 태도를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